“국민의 70%가 중산층이 되는 경제를 만들겠다.” 여권의 차기 대선주자인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1일 ‘중산층 경제론’을 내놨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시시엠엠(CCMM)빌딩에서 ‘내 삶을 지켜주는 경제’라는 제목의 정책 토론회를 열어 “신복지를 기반으로 하는 중산층 경제를 통해 새로운 중산층을 만들고, 기존의 중산층을 지켜 중산층을 복원하면 불평등이 완화되고 경제도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가 이날 발표한 경제 구상인 ‘일자리 주도 성장의 중산층 경제론’의 핵심은 좋은 일자리를 통해 사회경제적 약자를 중산층에 진입시켜 더욱 안정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토론회는 이 전 대표와 홍익표·박광온·정태호·홍기원·홍성국 민주당 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이 전 대표의 싱크탱크인 ‘연대와 공생’이 주관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이 전 대표는 ‘중산층 경제’를 위한 세 가지 목표로 △중산층 70% 달성 △노동소득분배율 70%로 상향(현재 60.7%) △고용률 70% 달성(현재 66.2%)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기술·그린·사람·포용·공정 등 5대 분야 성장 전략도 함께 발표했다. 이 전 대표는 기술혁신을 통한 성장으로 “반도체 2만7000개, 미래차 15만개, 바이오헬스, 30만개, 드론 17만개, 디지털벤처 40만개 등 좋은 일자리 100만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린성장의 세부 계획으로 △한국전력의 신재생에너지 플랫폼 기업화 △적정임금제 도입 △중소기업의 이에스지(ESG) 생태계 지원 추진 등을 약속했다. 이어 “사람에 의한 성장”을 강조하며 △이론은 학교에서, 실무는 기업에서 배우는 독일식 이원제 전면 시행 △‘뉴칼라’(인공지능,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신기술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MZ세대) 육성을 통한 교육 특별예산 편성 △뉴칼라의 벤처창업 전폭 지원 등을 제시했다. 포용성장을 위해서는 △공공병원 확충 △간호인력의 노동조건 개선 △공공어린이집 확충을 통한 일자리 확대를 강조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