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인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지난 5일 서울 청량리역에서 춘천행 ITX청춘열차 플랫폼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당대표 경선에 출마한 이준석 후보가 더불어민주당의 청년 정치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들에 대적할 젊은 정치인을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여당의 젊은 정치인을 소환해 ‘나이 어린 당대표는 불안하다’는 중진 후보들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젊은 여당 정치인의 잠재력을 부각하며 자신이 국민의힘 대표가 돼야 하는 이유를 강조한 것이다.
이 후보는 6일 페이스북에 “밑바닥을 다져가면서 준비하는 민주당의 젊은 정치인들이 수적으로 훨씬 우세하다”며 △장경태 의원은 자신감 △김남국 의원은 성실성 △박성민 전 최고위원은 표현력 △이동학 최고위원은 행동력이 장점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비록 문재인 정부의 노선 설정이 잘못 되었기에 언뜻 보면 그것을 방어하느라 삽을 뜨고 있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다고 하더라도, 만약 문재인 정부가 정신을 차리거나 정권이 바뀌거나 저들이 대선주자만 올바르게 세워도 그들은 더이상 문재인 정부의 실책을 옹호하지 않아도 되기에 무서운 주체로 돌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자신을 향한 중진 후보들의 ‘나이 공격’을 일축하며 젊은 정치인 발굴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어쩌다 보니 전당대회 내내 ‘젊은 사람이 해낼 수 있겠습니까?’라는 전당대회 내에서의 상대 후보들의 지적이 계속 방송에 나가고 있으니 우려스럽다”며 “전당대회 끝나면 우리 당에 누가 있어 민주당의 저 인물들에 대적해 젊은 사람들의 이슈를 발굴하고 계속 이끌어 나갈 수 있을까”라고 적었다. 이어 “내가 만약 대표가 된다면 첫째도, 둘째도 조속하게 저들을 상대할 수 있는 인재들을 토론배틀로 경쟁 선발해서 방송에도 나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년 정치인층이 얇은 국민의힘에서 민주당 청년 정치인들을 대적하려면 자신이 당대표가 돼 ‘선수층’을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경쟁자인 나경원·주호영 후보는 이에 ‘검사가 바로 대통령이 된 경우는 없다’는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 최근 발언과 김 전 위원장을 선대위원장으로 모셔오겠다는 지난 1일 이 후보의 발언을 거론하며 ‘불공정 경선’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고 두 사람을 모두 비판했다. 나 후보는 “김 위원장과 이 후보가 ‘위험한 공감대’를 형성한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고, 주 후보는 “그 누구도 대선후보군에 대한 평가를 독점할 권한은 없다”고 일갈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