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여전히 ‘동상이몽’
1일 청와대의 촉각은 온통 국회로 쏠렸다. 김병준 교육부총리에 대한 국회 교육위원회의 검증 과정을, 그의 사퇴 여부를 판가름하는 ‘분수령’으로 본 탓이다.
교육위가 끝난 뒤, 청와대에선 두 갈래의 기류가 감지됐다. 우선 외형적으론 ‘사퇴할 정도는 아니다’라는 목소리가 커졌다. 교육위의 ‘청문회’ 결과가 예상보다 고무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전날 노무현 대통령과 한명숙 국무총리의 오찬회동 등을 통해 ‘사퇴 불가피’ 쪽으로 기울어가던 기류와는 다소 다른 흐름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의원들의 주장이 언론이 보도한 내용을 재탕, 삼탕 하는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며 “논란의 핵심인 두뇌한국(BK) 21 논문 중복 게재는 본인이 사과했고, 나머지 부분도 설득력 있게 설명해 의원들이 재반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교육위 검증 과정에서 사실관계에 대한 의혹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판단하는 만큼, 당장 김 부총리의 진퇴 여부를 결정하기보다는 여론 추이를 좀더 지켜보는 쪽으로 갈 수 있지 않으냐는 얘기다.
하지만 ‘결국 사퇴 쪽으로 갈 것’이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게 나온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김 부총리가) 물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조성된 것 아니냐”며 “다만 그 방법과 시기가 고민스럽다”고 밝혔다.
청와대의 고민이 거듭되는 것과 달리, 열린우리당은 자진 사퇴가 바람직하다는 태도를 재확인했다.
김근태 의장과 김한길 원내대표, 당 소속 교육위원들은 교육위 뒤 간담회를 열어 “의혹이 상당 부분 해소돼 김 부총리가 학자로서의 명예를 회복되는 계기가 됐지만, 도덕성이 필요한 교육부총리로서의 직을 계속 수행할 수 있는 상황인지, 본인이 여러 상황을 고려해 현명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고 우상호 대변인이 전했다. 우 대변인은 “우리는 (김 부총리에게) 명예로운 퇴진을 요청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휴가 아닌 휴가’를 보내고 있는 노 대통령은 이날 텔레비전으로 교육위 청문회를 지켜보며 참모들을 수시로 불러 김 부총리 거취의 해법을 고민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명숙 총리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들어본 뒤 (노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전했다.
신승근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