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전 대통령 빈소의 전 전대통령 화환 22일 오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최규하 전 대통령 빈소에 전두환 전 대통령이 보내온 화환이 영정 옆자리에 자리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22일 세상을 떠난 최규하 전 대통령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특실엔 친인척과 전직 대통령, 정·관계 인사 등의 조문행렬이 하루종일 이어졌다. 빈소엔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김영삼·노태우·전두환 전 대통령, 반기문 새 유엔 사무총장, 여야 정치권 인사 등 각계에서 보낸 화환도 가득 찼다.
이날 오후 2시10분께 조문을 온 김영삼 전 대통령은 빈소 앞에서 묵념을 하고 유족들을 위로한 뒤 “더 살 수 있는 나이인데 조금 일찍 돌아가신 것 같다”고 안타까워 했다. 김 전 대통령은 “야당 총재 시절 고인을 두차례 만나 대통령 직선제를 실시하자고 요구했지만, 남미와 유럽의 선거제도를 시찰해야 하겠다며 거절했다”고 회고했다.
오후 2시55분께 이희호 여사와 함께 조문을 온 김대중 전 대통령은 “고인은 외교계의 중진으로 나라에 큰 공헌을 하셨고, 매우 중후하고 성실한 성격으로 여러 사람의 귀감이 됐다. 내가 국회의원으로서 장관이었던 고인과 국사를 논의했던 기억이 생생하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최 전 대통령께서 외무장관일 때 사무관으로 외교부에 들어왔고, 젊은 시절부터 존경하던 역할 모델이었다”며 “유엔 사무총장에 임명되고 나서 인사드리러 가려 했는데 오지 말라고 하셨다”고 안타까워했다.
지난 21일부터 대구를 방문중인 전두환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최 전 대통령의 부음을 접한 뒤 놀라는 표정을 지으며 “안타깝다”고 말했으며, 건강이 나빠 서울 연희동 자택에 머물고 있는 노태우 전 대통령도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측근들은 전했다.
빈소를 찾아온 김형오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고인은 유신에서 5공으로 이어지는 한국 사회의 변화와 곤욕의 중심에 계셨고, 아무 말씀도 하지 않으셨지만 말 없음으로 한국 사회의 고통과 질곡을 보여주고 가셨다”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