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발 메시지 직접 관리..브리핑 글 증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최근 들어 매일 `청와대 브리핑 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는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들에 따르면 노 대통령은 올 초부터 매일 오전 일일상황점검회의 직후 관저로 일부 참모들을 불러 30∼40분 동안 회의를 열어 청와대 홈페이지인 청와대 브리핑에 게재될 글들의 방향과 취지 등을 직접 설명하고 있다.
노 대통령은 이 회의에서 관련 참모들로부터 현안과 함께 그 날의 청와대 브리핑 운영 계획을 보고받은 뒤 현안에 대한 세부사항을 일일이 지시하고 있다.
회의에는 윤승용(尹勝容) 홍보수석을 비롯한 홍보수석실 비서관들이 고정적으로 참석하며 현안에 따라 다른 수석실 참모들도 참석하고 있다.
청와대 브리핑이 대통령과 청와대의 메시지를 대외적으로 알리는 공식적인 대외 창구인 점을 감안하면, '청와대 브리핑 회의'는 언론사로 치면 일종의 `편집회의'인 셈이다. 그동안 청와대 브리핑은 김종민(金鍾民) 국정홍보비서관 책임 아래 운영돼 왔다.
이와 함께 노 대통령은 이 회의에서 ▲참여정부의 성과와 문제점 ▲참여정부에서의 민주주의 발전과 과제 ▲국가 발전전략과 비전 등 세 축을 중심으로 참여정부의 공과(功過)를 청와대 브리핑에 기록하는 작업도 꼼꼼히 챙기고 있다.
노 대통령은 작년 하반기부터 참모들에게 지시를 해 준비를 시켰으며, 청와대는 주제별로 순차적으로 `개혁시리즈' 형식으로 청와대 브리핑에 자료를 올릴 계획이다. 윤승용 수석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올해는 임기 5년 중 4년을 마치고 정리하는 해이기 때문에 참여정부의 성과, 과제, 쟁점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국민에게 직접 전하고 싶은 의욕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이 이처럼 청와대 홈페이지를 직접 챙기고 나선 것은 임기 말 대(對)국민 메시지를 직접 관리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여기에는 평소 참여정부의 성과가 언론에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는다는 언론에 대한 불신도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노 대통령이 17일 중앙언론사 편집.보도국장단 오찬에서 "정부는 (언론의) 지적을 수렴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들어오는 방향의 소통은 막힘이 없지만, 나가는 방향에 있어서의 소통은 문제가 많다"고 말한 것이 바로 이런 맥락이다. '나가는 방향', 즉 청와대발 정책 메시지가 국민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언론이 그 매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지적인 셈이다. 노 대통령은 또 "참여정부의 그 동안의 정책적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며 "10년, 20년 뒤에 언론자료와 국정브리핑 등 우리 정부의 자료를 갖고 정확성을 한번 더 평가해보자. 그 점이 (언론과의) 선의의 경쟁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노 대통령이 언급한 '정부 자료'중 하나가 '청와대 브리핑'이며, 국정홍보처가 운영하는 '국정 브리핑'이다. 집권 마지막 해로 접어들면서 참여정부를 마무리하는 기록에 대한 의지도 청와대 브리핑을 직접 챙기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그동안 국정 브리핑에 댓글도 직접 달면서 애착을 보였고, 그 성과로 국정 브리핑이 정책 포털로 자리 잡은 것으로 평가했다"며 "올해는 청와대 브리핑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특히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최근의 개헌 정국도 노 대통령의 청와대 브리핑 챙기기에 한몫한 것으로 관측된다. 현시점에서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은 안된다는 여론의 물줄기를 틀기 위해서는 대국민 홍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의 지난 9일 개헌 제안 이후 청와대 참모들이 청와대 브리핑에 경쟁적으로 글을 올리는 현상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노 대통령이 청와대 브리핑 회의를 직접 주재하기 시작한 올 들어 매일 게재되는 청와대 브리핑 글 건수도 지난해와 비교해 부쩍 많아졌다. 올해 초부터 하루 3∼4개씩의 정치권이나 비판적 언론의 주장이나 논조를 반박하는 글들이 매일같이 올라왔다. 18일에도 김종민 국정홍보비서관이 '개헌 문제 쉽게 끝날 일 아니다'는 글과 함께 남북정상회담 설(說) 관련 보도를 비판하며, 이 같은 논조를 "야당과 보조를 맞추는 동일한 주장이고 대선용 신문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하는 글이 차례대로 게재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노 대통령의 취지대로 기틀이 잡히면 다시 참모들에게 맡기실지 모르겠지만 당분간은 계속해서 회의를 주재하실 것"이라며 "회의는 청와대 브리핑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 대통령의 생각을 듣는 자리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노 대통령은 작년 하반기부터 참모들에게 지시를 해 준비를 시켰으며, 청와대는 주제별로 순차적으로 `개혁시리즈' 형식으로 청와대 브리핑에 자료를 올릴 계획이다. 윤승용 수석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올해는 임기 5년 중 4년을 마치고 정리하는 해이기 때문에 참여정부의 성과, 과제, 쟁점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국민에게 직접 전하고 싶은 의욕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이 이처럼 청와대 홈페이지를 직접 챙기고 나선 것은 임기 말 대(對)국민 메시지를 직접 관리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여기에는 평소 참여정부의 성과가 언론에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는다는 언론에 대한 불신도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노 대통령이 17일 중앙언론사 편집.보도국장단 오찬에서 "정부는 (언론의) 지적을 수렴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들어오는 방향의 소통은 막힘이 없지만, 나가는 방향에 있어서의 소통은 문제가 많다"고 말한 것이 바로 이런 맥락이다. '나가는 방향', 즉 청와대발 정책 메시지가 국민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언론이 그 매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지적인 셈이다. 노 대통령은 또 "참여정부의 그 동안의 정책적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며 "10년, 20년 뒤에 언론자료와 국정브리핑 등 우리 정부의 자료를 갖고 정확성을 한번 더 평가해보자. 그 점이 (언론과의) 선의의 경쟁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노 대통령이 언급한 '정부 자료'중 하나가 '청와대 브리핑'이며, 국정홍보처가 운영하는 '국정 브리핑'이다. 집권 마지막 해로 접어들면서 참여정부를 마무리하는 기록에 대한 의지도 청와대 브리핑을 직접 챙기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그동안 국정 브리핑에 댓글도 직접 달면서 애착을 보였고, 그 성과로 국정 브리핑이 정책 포털로 자리 잡은 것으로 평가했다"며 "올해는 청와대 브리핑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특히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최근의 개헌 정국도 노 대통령의 청와대 브리핑 챙기기에 한몫한 것으로 관측된다. 현시점에서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은 안된다는 여론의 물줄기를 틀기 위해서는 대국민 홍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의 지난 9일 개헌 제안 이후 청와대 참모들이 청와대 브리핑에 경쟁적으로 글을 올리는 현상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노 대통령이 청와대 브리핑 회의를 직접 주재하기 시작한 올 들어 매일 게재되는 청와대 브리핑 글 건수도 지난해와 비교해 부쩍 많아졌다. 올해 초부터 하루 3∼4개씩의 정치권이나 비판적 언론의 주장이나 논조를 반박하는 글들이 매일같이 올라왔다. 18일에도 김종민 국정홍보비서관이 '개헌 문제 쉽게 끝날 일 아니다'는 글과 함께 남북정상회담 설(說) 관련 보도를 비판하며, 이 같은 논조를 "야당과 보조를 맞추는 동일한 주장이고 대선용 신문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하는 글이 차례대로 게재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노 대통령의 취지대로 기틀이 잡히면 다시 참모들에게 맡기실지 모르겠지만 당분간은 계속해서 회의를 주재하실 것"이라며 "회의는 청와대 브리핑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 대통령의 생각을 듣는 자리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