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요구했다” 보도에 청와대 “안된다” 맞받자
미 “그런적 없다” 반박
미 “그런적 없다” 반박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 시한 마지막 날인 30일 청와대는 ‘국익 우선론’을 역설하며 미국 쪽과 기싸움을 벌였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은 이날 “기자들도 국익을 생각해 달라”고 당부하며, 노무현 대통령이 이날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등 협상단에 지시한 최종 지침에 대한 취재를 봉쇄하는 등 보안 유지에 극도로 신경을 썼다. 또 협상을 깰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치는 등 초강경 자세를 고수했다. 이는 정부가 협상 타결에 연연해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 미국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윤승용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일부 언론에서 우리 정부가 낮은 수준에서라도 협상을 타결지을 것이라고 보도했는데, 사실이 아닌 것 같다”며 ‘낮은 수준의 타협론’을 부인했다. 한국과 미국 협상단이 각자의 이익 극대화를 꾀하며 한판 기싸움을 벌이는 상황에서 이런 주장이 제기되면 한국의 입지가 좁아질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그런 가능성 자체를 아예 봉쇄한 셈이다.
청와대는 이날 오후 미국 협상단이 협상기한을 4월2일(한국시각)까지 연장하자는 제안을 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협상 시한 연장은 없다”며 강경한 태도로 일관했다.
김정섭 청와대 부대변인은 협상 시한 연장론과 관련해 “미국이 그런 요구를 했는지 아는 바 없다. 협상장에서 대표 사이에 오간 얘기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며 “타결이 되건 결렬이 되건 협상 시한 안에 결판을 내겠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협상 시한 연장은 없다”고 못박았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