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연장설 나돌자 청와대 “아는바 없다” 쐐기
“결렬돼도 결판” 신경전
“결렬돼도 결판” 신경전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 시한 마지막날인 30일 청와대는 ‘국익 우선론’을 역설하며 미국 쪽과 기싸움을 벌였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은 “기자들도 국익을 생각해 달라”고 당부하며, 노무현 대통령이 협상단에 지시한 최종 지침에 대한 취재를 봉쇄하는 등 보안 유지에 극도로 신경을 썼다. 또 협상을 깰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치는 등 초강경 자세를 고수했다. 정부가 협상 타결에 연연해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 미국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윤승용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일부 언론에서 우리 정부가 낮은 수준에서라도 협상을 타결지을 것이라고 보도했는데, 사실이 아닌 것 같다”며 ‘낮은 수준의 타협론’을 부인했다. 이런 얘기가 나오면 협상력이 떨어질 것이라고 청와대 쪽은 판단한 것 같다. 청와대는 이날 오후 미국 협상단이 협상기한을 4월2일(한국시각)까지 연장하자는 제안을 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협상 시한 연장은 없다”며 강경한 태도로 일관했다.
청와대는 협상이 타결될 경우에 대비한 준비도 서둘렀다. 노무현 대통령은 협상이 타결되면 다음달 1일 청와대에서 협정 관련 워크숍을 주재할 예정이다. 영빈관에서 열리는 워크숍에는 모든 부처의 장·차관과 청와대 수석, 보좌관 이상 고위 관계자와 대통령 자문 국정과제위원 등 130여명이 참석한다. 윤승용 대변인은 “워크숍은 협상 결과와 내용을 공유, 점검하고 후속 조처를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