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도 재반박키로
청와대는 18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한 〈한겨레〉 보도 내용을 반박하는 글을 시작으로, 세차례에 걸쳐 〈한겨레〉 보도를 반박하는 글을 청와대 인터넷 홈페이지 〈청와대 브리핑〉에 실겠다고 밝혔다.
윤승용 청와대 대변인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등을 가장 반대 쪽 자세에서 보도해 온 〈한겨레〉의 보도 내용에 대해, 18일부터 20일까지 3차례에 걸쳐 〈청와대 브리핑〉에 (〈한겨레〉 보도를) 반박하는 기고 시리즈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겨레〉가) 자유무역협정 피해 상황이나 타결 과정, 타결 이후 재협상 과정에서 우리가 생각하기에 사실(팩트)을 잘못 해석했다고 파악했기 때문”이라며 “보도 사실의 오류를 조목조목 짚을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브리핑〉은 이날 ‘한겨레는 달라야 하지 않겠습니까? 한겨레에 보내는 쓴소리 1’이라는 제목의 첫번째 글을 통해 △유전자변형생물체 위생검역 절차를 미국 요구대로 간소화했다는 보도 △투자자-국가소송제 보도 △지방자치단체의 한-미 자유무역협정 반대단체 지원 중단을 지적한 보도 등이 사실을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19일엔 개헌 문제에 대한 〈한겨레〉 보도 내용을 비판하는 글을, 20일엔 전반적인 〈한겨레〉 보도 태도를 비판하는 글을 계속 〈청와대 브리핑〉에 올릴 예정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들이 밝혔다. 이름을 밝히지 말라고 요청한 복수의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은 “〈한겨레〉가 4년 연임제 개헌 문제와 한-미 자유무역협정 문제에서 일방적으로 참여정부를 비판하고, 이들 사안에서 자신의 가치 판단을 국민과 정부에 강요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와 대해 〈한겨레〉는 청와대의 정확한 지적은 겸허하게 받아들이되 사실과 어긋나는 내용이나 단지 정부 주장을 강요하는 논리에 대해선 옳고 그름을 분명히 짚는 재반박 보도를 청와대 기고 시리즈가 끝난 뒤 내기로 했다. 〈한겨레〉는 이번 청와대 기고가 아직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 내용을 다시 한번 짚어보고, 건강한 토론이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도록 할 방침이다.
신승근 박순빈 기자 sbpar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