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1실 7수석’으로 축소키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조직을 축소하기로 최종 방침을 정하고, 이를 13일 국정과제 1차 보고회의에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에게 보고했다.
인수위는 현재 비서실, 정책실, 안보실의 ‘3실’ 체제인 청와대 조직 중 정책실과 안보실을 폐지하고 8개 수석 자리 중 시민사회·혁신관리 수석 자리를 없앨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청와대의 정무기능 강화를 위해 정무수석을 부활시켜 비서실장 아래에 경제·정무·민정·사회정책·인사·홍보·외교안보 수석을 둬 현재 ‘3실 8수석’ 체제를 ‘1실 7수석’ 체제로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총리실의 경우, 총리 비서실의 민정수석실 폐지와 국무조정실 조직 축소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위는 이와 함께 현재 416개인 각종 정부위원회에 대해서도 대대적인 정비에 나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인수위 핵심관계자는 청와대 조직 축소와 관련해 “작고 효율적인 청와대가 될 것”이라며 “자리가 늘어나면 규제도 늘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이 당선인은 이날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정부 조직 개편과 관련해 “(일부 공직자 중에서) 주요한 부서, 요직에 있던 사람들 중에서 더더욱 시대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내 자리보다는 변하는 시대에 어떻게 하는 게 더 능률적이고 효율적이냐를 생각하는 게 간부와 고위직 공무원의 자세”라고 말했다. 이는 최근 정부 조직 개편과 관련해 각 부서의 치열한 로비전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이 당선인은 또 “비록 내 자리는 없어져도 ‘이렇게 하는 게 좋겠다’고 제안을 하는 공직자로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인수위는 차기 정부가 중점 추진할 국정과제 155개를 선정해 이 당선인에게 보고했다. 이날 보고된 국정과제는 분야별로 △경제 분과 52개 △사회·교육·문화 분과 24개 △외교·통일·안보 분과 54개 △정무·법무·행정 분과 17개 △국가경쟁력강화특위 8개 등이다. 이 당선인은 이날 보고를 토대로 14일 새해 기자회견을 열어 차기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기본구상을 밝힐 예정이다.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