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교사 3천명 뽑아 국내외 심화연수
영어 우수 대학생·주부 등 ‘보조교사’ 활용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29일 공개한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 실천 방안’은 영어와 관련해 교원과 교육과정, 교육환경을 바꿔서 정규 영어 수업을 전면적으로 바꾸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수위는 “부모의 소득격차와 지역간 격차가 영어 학습기회의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농어촌 지역과 대도시 저소득층 지역에 우선 지원하겠다”며 “향후 5년간 약 4조원을 투입해 범부처적인 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영어로 수업하는 교원 확충=인수위는 우선 영어 과목을 영어로 수업하는 교원을 확충하는 게 시급하다고 보고 1조7천억원의 국고지원을 통해 영어 전용 교사 2만3천명을 2013년까지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테솔(TESOL) 등 국내외 영어 교육과정 이수자, 영어권 국가 석사학위 이상 취득자, 교사자격증 소지자, 전문직 등 영어수업 가능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구술면접을 통해 영어 전용교사를 선발하고 6개월 이내의 연수를 거쳐 계약직 교육공무원으로 채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인수위는 또 2009년부터 매년 3천명의 교사를 뽑아 국내(1500명)와 국외(1500명)에서 6개월 내지 1년간 심화연수를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영어에 능통한 대학생과 주부, 지역 주민, 재외동포 등에게 일정한 제도적 인센티브를 주고 ‘영어전용 보조교사’로 적극 활용하는 한편, ‘원어민 보조교사’를 채용부터 배치 전 연수, 배치, 적응 지원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지원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영어 교육과정 개편=인수위는 영어 교육과정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침 아래 2010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시간을 3~4학년의 경우 매주 1시간에서 3시간으로, 5~6학년의 경우 매주 2시간에서 3시간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인수위는 2011년에는 초등학교 3~6학년이 모든 영어수업을 영어로 실시토록 하는 한편, 2010년부터 중3, 고1의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을 본격화해 2012년에는 중·고교의 모든 회화 중심 수업을 영어로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인수위는 또 한국형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을 도입해 2013학년도부터는 네 평가영역 중 듣기·읽기 영역만 평가하고, 올해 초등학교 6학년생이 시험을 치르는 2015학년도 대학입시부터는 듣기·읽기·쓰기·말하기 등 네 영역을 모두 평가하기로 했다. 또 교육부에서 2007년 7월 착수한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 사업을 확대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영어 친화적 교육환경 구축=인수위는 이밖에 시·군·구 어린이 영어도서관 운영 지원으로 학교 밖 영어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정규수업 외의 재량활동 시간과 방과후 학교, 방학 중의 영어프로그램 확대 △영어로 수업하는 문화예술강사 등에 대한 금전적 인센티브 제공 △농·산·어촌 지역과 대도시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바우처 지원제도 도입 △교육방송(EBS)의 영어 교육방송과 인터넷 포털에서의 디엠비(DMB), 엠피3(MP3)용 영어학습 콘텐츠 개발·보급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영어 우수 대학생·주부 등 ‘보조교사’ 활용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29일 공개한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 실천 방안’은 영어와 관련해 교원과 교육과정, 교육환경을 바꿔서 정규 영어 수업을 전면적으로 바꾸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수위는 “부모의 소득격차와 지역간 격차가 영어 학습기회의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농어촌 지역과 대도시 저소득층 지역에 우선 지원하겠다”며 “향후 5년간 약 4조원을 투입해 범부처적인 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영어로 수업하는 교원 확충=인수위는 우선 영어 과목을 영어로 수업하는 교원을 확충하는 게 시급하다고 보고 1조7천억원의 국고지원을 통해 영어 전용 교사 2만3천명을 2013년까지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테솔(TESOL) 등 국내외 영어 교육과정 이수자, 영어권 국가 석사학위 이상 취득자, 교사자격증 소지자, 전문직 등 영어수업 가능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구술면접을 통해 영어 전용교사를 선발하고 6개월 이내의 연수를 거쳐 계약직 교육공무원으로 채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인수위는 또 2009년부터 매년 3천명의 교사를 뽑아 국내(1500명)와 국외(1500명)에서 6개월 내지 1년간 심화연수를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영어에 능통한 대학생과 주부, 지역 주민, 재외동포 등에게 일정한 제도적 인센티브를 주고 ‘영어전용 보조교사’로 적극 활용하는 한편, ‘원어민 보조교사’를 채용부터 배치 전 연수, 배치, 적응 지원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지원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영어 교육과정 개편=인수위는 영어 교육과정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침 아래 2010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시간을 3~4학년의 경우 매주 1시간에서 3시간으로, 5~6학년의 경우 매주 2시간에서 3시간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인수위는 2011년에는 초등학교 3~6학년이 모든 영어수업을 영어로 실시토록 하는 한편, 2010년부터 중3, 고1의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을 본격화해 2012년에는 중·고교의 모든 회화 중심 수업을 영어로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인수위는 또 한국형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을 도입해 2013학년도부터는 네 평가영역 중 듣기·읽기 영역만 평가하고, 올해 초등학교 6학년생이 시험을 치르는 2015학년도 대학입시부터는 듣기·읽기·쓰기·말하기 등 네 영역을 모두 평가하기로 했다. 또 교육부에서 2007년 7월 착수한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 사업을 확대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영어 친화적 교육환경 구축=인수위는 이밖에 시·군·구 어린이 영어도서관 운영 지원으로 학교 밖 영어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정규수업 외의 재량활동 시간과 방과후 학교, 방학 중의 영어프로그램 확대 △영어로 수업하는 문화예술강사 등에 대한 금전적 인센티브 제공 △농·산·어촌 지역과 대도시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바우처 지원제도 도입 △교육방송(EBS)의 영어 교육방송과 인터넷 포털에서의 디엠비(DMB), 엠피3(MP3)용 영어학습 콘텐츠 개발·보급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