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청와대’ 무엇이 달라지나
당-청 정례회동도 재개 유력
‘주말외박’은 경호때문 미지수 청와대에 새 주인이 들어서면서 청와대가 새롭게 바뀌어 가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탈권위’를 외치며 청와대 모습을 상당히 변화시켰다면, 노 전 대통령 못지 않게 격식을 타파하는 스타일인 이명박 대통령도 청와대 모습을 크게 바꾸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는 우선 25일부터 청와대 홈페이지(www.president.go.kr)를 개편했다. 참여정부의 청와대 홈페이지가 논평 등 현안에 대한 의제 설정 성격이 짙었다면, 새 정부의 홈페이지는 주관적 의견 개진은 최대한 자제하고, 국가정책 변화 안내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주로 싣기로 했다. 논란을 빚었던 ‘국정브리핑’은 폐지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또 사이버상에서 대통령과 국민의 ‘1 대 1 커뮤니케이션’ 기회를 확대하기로 했는데, 이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처럼 ‘댓글 정치’를 감행할지는 미지수다. 매주 화요일 오전 9시30분 청와대에서 열렸던 국무회의는 종전처럼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종종 총리에게 국무회의를 주재하도록 했던 노 전 대통령과 달리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직접 챙길 것으로 알려졌다. 노 전 대통령은 ‘실세 총리’인 이해찬 총리 시절, 총리가 국무회의를 주재하도록 하고 본인은 한 달에 한 번 정도 참석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직접 관할해야 직성이 풀리는 이 대통령의 성격상 임기 내내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어쩌면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 정부종합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참여정부 들어 사라졌던 ‘독대’는 다시 부활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노 전 대통령은 “특정인에게 불필요한 힘을 실어주고, 잘못된 정보가 나갈 수 있다”는 이유로, 누구에게도 독대를 허용치 않았고, 국정원장과의 주례회동도 폐지했다. 그러나 기업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이 대통령은 후보·당선인 시절, 수시로 주요 인사들과 독대했고, 격식이나 정치적 의미보다는 ‘필요’와 ‘효율’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스타일이다. 이 대통령과 가까운 한나라당 의원은 “독대는 바람직하지 않다. 의전 비서관이라도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참여정부에선 볼 수 없었던 당과 청와대의 정례회동도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한나라당이 이를 강하게 요청하고 있다. 청와대도 참여정부 시절, 당·청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던 주요한 이유로 ‘당·청 채널이 없었던 점’을 꼽고 있다. 당선인 비서실장을 맡았던 임태희 의원은 “당·정·청의 원활한 관계를 위해 어떤 형태로든 당·정·청 만남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밝혔던 “주말에는 청와대 밖에서 머물겠다”는 말은 아직 거두지 않았다. 활동적인 이 대통령이 주말에는 안가 등 바깥에서 외부인사도 만나고, 삼청동에서 테니스도 치는 등 자유롭게 보내고 싶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현장’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이 주말을 이용해 민생경제 현장을 둘러볼 가능성도 높다. 노 전 대통령은 ‘정치 쇼를 하고 싶진 않다’는 이유로 현장 방문을 피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바라는 ‘주말 외박, 현장 방문’은 경호상의 이유로 난관에 부딪힐 수도 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주말외박’은 경호때문 미지수 청와대에 새 주인이 들어서면서 청와대가 새롭게 바뀌어 가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탈권위’를 외치며 청와대 모습을 상당히 변화시켰다면, 노 전 대통령 못지 않게 격식을 타파하는 스타일인 이명박 대통령도 청와대 모습을 크게 바꾸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는 우선 25일부터 청와대 홈페이지(www.president.go.kr)를 개편했다. 참여정부의 청와대 홈페이지가 논평 등 현안에 대한 의제 설정 성격이 짙었다면, 새 정부의 홈페이지는 주관적 의견 개진은 최대한 자제하고, 국가정책 변화 안내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주로 싣기로 했다. 논란을 빚었던 ‘국정브리핑’은 폐지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또 사이버상에서 대통령과 국민의 ‘1 대 1 커뮤니케이션’ 기회를 확대하기로 했는데, 이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처럼 ‘댓글 정치’를 감행할지는 미지수다. 매주 화요일 오전 9시30분 청와대에서 열렸던 국무회의는 종전처럼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종종 총리에게 국무회의를 주재하도록 했던 노 전 대통령과 달리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직접 챙길 것으로 알려졌다. 노 전 대통령은 ‘실세 총리’인 이해찬 총리 시절, 총리가 국무회의를 주재하도록 하고 본인은 한 달에 한 번 정도 참석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직접 관할해야 직성이 풀리는 이 대통령의 성격상 임기 내내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어쩌면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 정부종합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참여정부 들어 사라졌던 ‘독대’는 다시 부활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노 전 대통령은 “특정인에게 불필요한 힘을 실어주고, 잘못된 정보가 나갈 수 있다”는 이유로, 누구에게도 독대를 허용치 않았고, 국정원장과의 주례회동도 폐지했다. 그러나 기업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이 대통령은 후보·당선인 시절, 수시로 주요 인사들과 독대했고, 격식이나 정치적 의미보다는 ‘필요’와 ‘효율’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스타일이다. 이 대통령과 가까운 한나라당 의원은 “독대는 바람직하지 않다. 의전 비서관이라도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참여정부에선 볼 수 없었던 당과 청와대의 정례회동도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한나라당이 이를 강하게 요청하고 있다. 청와대도 참여정부 시절, 당·청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던 주요한 이유로 ‘당·청 채널이 없었던 점’을 꼽고 있다. 당선인 비서실장을 맡았던 임태희 의원은 “당·정·청의 원활한 관계를 위해 어떤 형태로든 당·정·청 만남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밝혔던 “주말에는 청와대 밖에서 머물겠다”는 말은 아직 거두지 않았다. 활동적인 이 대통령이 주말에는 안가 등 바깥에서 외부인사도 만나고, 삼청동에서 테니스도 치는 등 자유롭게 보내고 싶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현장’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이 주말을 이용해 민생경제 현장을 둘러볼 가능성도 높다. 노 전 대통령은 ‘정치 쇼를 하고 싶진 않다’는 이유로 현장 방문을 피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바라는 ‘주말 외박, 현장 방문’은 경호상의 이유로 난관에 부딪힐 수도 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