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임박…주말없는 청와대 주차장 / 개각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6일 오전 청와대 직원 주차장이 휴일에도 불구하고 차량들로 가득차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새 정부 첫 개각 임박
한승수 총리 유임…교육·농식품·복지 경질 거론
경제실패 논란에도 강만수 유임기류 강해 청와대는 현재 야당의 국회 등원을 전제로 이번 주중에 개각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6일 기자들과 만나 “아직 완전히 조율이 끝나지 않았다”며 “이번 주중에는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4일 “개각은 언론의 예상보다 소폭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개각의 큰 가닥은 ‘한승수 총리 유임, 장관 3~4명 교체’ 등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교체 대상 장관으로는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는 애초 ‘개각’을 통한 국정쇄신을 염두에 뒀으나, 청와대 수석진을 전면 교체함에 따라 국정운영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의 교체는 소폭으로 줄이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여기에는 일반시민들이 개각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청와대의 이런 방침에 대해 한나라당이 “소폭 개각으로는 쇠고기 정국을 일단락짓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해 ‘중폭’ 교체 가능성도 재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 폭은 결국 대통령이 결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번 개각이 애초 청와대가 의도한 ‘소폭’ 개각에 머물 경우, ‘정책기조 수정’과는 관계가 없어 보인다. 정 농수산식품부 장관은 쇠고기 정국에 대한 일종의 ‘희생양’ 성격이 짙고, 김성이 복지부 장관은 전문성 부족 논란, 김도연 교육부 장관은 국고지원 모교 방문에 따른 도덕성 논란으로 경질이 거론되는 등 사유가 대부분 개인적 문제다. 정책기조 수정과 관련된 정부의 의지는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교체 여부가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경제정책 실패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진 강 장관의 유임 기류가 강하다. 강 장관이 유임될 경우, 시장은 최근 정부의 ‘안정 우선’ 정책 발표를, ‘정책기조 변화’라기보다는 고물가 부작용에 대한 ‘임시변통’ 정도로 이해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민간경제연구소의 한 연구위원은 “정책은 신뢰가 생명인데, 한 입으로 전혀 다른 정책 방향을 이야기하는 경제팀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느냐”며 “아무리 옳은 정책을 편다 해도 정부가 정말 그렇게 할지 의구심이 들 때 시장은 제대로 반응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또 대운하를 추진해 왔던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공무원 구조조정 및 정부청사 주차비 징수 논란에서 매끄럽지 못한 일처리로 공무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렸다는 지적을 받는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의 교체 여부도 주목거리다.
농수산식품부 장관 후임으로는 비영남권 인사인 이명수 전 농림부 차관, 홍문표 전 의원, 이 대통령의 농어업 부문 공약을 총괄한 윤석원 중앙대 교수 등이 거론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으로는 신언항·이경호·문창진 등 전 복지부 차관, 고경화 전 의원 등이,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에는 황우여·이군현 의원과 안병만 대통령자문 미래기획위원장, 오세정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경제실패 논란에도 강만수 유임기류 강해 청와대는 현재 야당의 국회 등원을 전제로 이번 주중에 개각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6일 기자들과 만나 “아직 완전히 조율이 끝나지 않았다”며 “이번 주중에는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4일 “개각은 언론의 예상보다 소폭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개각의 큰 가닥은 ‘한승수 총리 유임, 장관 3~4명 교체’ 등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교체 대상 장관으로는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는 애초 ‘개각’을 통한 국정쇄신을 염두에 뒀으나, 청와대 수석진을 전면 교체함에 따라 국정운영의 연속성을 위해 내각의 교체는 소폭으로 줄이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여기에는 일반시민들이 개각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청와대의 이런 방침에 대해 한나라당이 “소폭 개각으로는 쇠고기 정국을 일단락짓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해 ‘중폭’ 교체 가능성도 재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 폭은 결국 대통령이 결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번 개각이 애초 청와대가 의도한 ‘소폭’ 개각에 머물 경우, ‘정책기조 수정’과는 관계가 없어 보인다. 정 농수산식품부 장관은 쇠고기 정국에 대한 일종의 ‘희생양’ 성격이 짙고, 김성이 복지부 장관은 전문성 부족 논란, 김도연 교육부 장관은 국고지원 모교 방문에 따른 도덕성 논란으로 경질이 거론되는 등 사유가 대부분 개인적 문제다. 정책기조 수정과 관련된 정부의 의지는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교체 여부가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경제정책 실패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진 강 장관의 유임 기류가 강하다. 강 장관이 유임될 경우, 시장은 최근 정부의 ‘안정 우선’ 정책 발표를, ‘정책기조 변화’라기보다는 고물가 부작용에 대한 ‘임시변통’ 정도로 이해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민간경제연구소의 한 연구위원은 “정책은 신뢰가 생명인데, 한 입으로 전혀 다른 정책 방향을 이야기하는 경제팀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느냐”며 “아무리 옳은 정책을 편다 해도 정부가 정말 그렇게 할지 의구심이 들 때 시장은 제대로 반응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또 대운하를 추진해 왔던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공무원 구조조정 및 정부청사 주차비 징수 논란에서 매끄럽지 못한 일처리로 공무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렸다는 지적을 받는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의 교체 여부도 주목거리다.
농수산식품부 장관 후임으로는 비영남권 인사인 이명수 전 농림부 차관, 홍문표 전 의원, 이 대통령의 농어업 부문 공약을 총괄한 윤석원 중앙대 교수 등이 거론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으로는 신언항·이경호·문창진 등 전 복지부 차관, 고경화 전 의원 등이,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에는 황우여·이군현 의원과 안병만 대통령자문 미래기획위원장, 오세정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