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북 민간지원단체들의 대규모 방북을 허용하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8일 “그동안 인도적인 지원을 꾸준히 해 온 민간단체의 방북은 행사 성격상 막기 어려운 것 아니냐”며 이들의 방북 신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방침임을 내비쳤다.
정부의 이런 태도는 최근 대북 식량지원 재개를 적극 검토하는 분위기와 맞물리며,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김하중 통일부 장관은 지난 4일 “인도주의 정신과 동포애에 입각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대북 식량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정부는 전교조와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청년학생본부 방북단, 민노당의 방북 신청을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이 발생한 상황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며 반려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이번 9~10월에 방북을 추진하는 민간단체는 인도적 목적의 순수 지원단체라는 점에서 전교조 등과 다르다”며 “매년 후원자들을 데리고 지원하는 북한의 공장이나 병원 준공식 등을 방문하는 지원 민간단체들의 행사를 막기는 어렵다고 생각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현재 방북을 준비 중인 민간지원단체는 7~8곳에 이른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가 4일 북한의 병원 준공식 참석을 위해 160여명에 대한 방북신청서를 냈고, 평화3000도 평양 두부공장 지원을 위해 120명에 대한 방북신청서를 냈다. 이 밖에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 경남통일농업협력회, 어린이어깨동무, 전남도민남북교류협의회 등도 9~10월 방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