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7일 여야의 전날 합의에 대해 “절반의 정상화”라고 규정하며 불만을 표시했다. 또 한나라당의 내홍 사태에 대해서는 여전히 ‘거리 두기’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국회가 정상화됐는데, 개각 준비작업에 들어가느냐’는 물음에 “정확하게 얘기하자면 ‘절반의 정상화’라는 게 맞을 것”이라고 말해 쟁점 법안 처리 지연에 대한 청와대의 불만을 간접적으로 표현했다. 이 대변인은 또 “‘정명’(正名), 즉 딱 맞는 이름을 붙이는 게 참 중요하다”며 “민생이나 일자리 창출 등 경제 살리기와 직결된 중요한 법안들이 무슨 악법이니 하는 식으로 이상한 이름이 붙여져 처리가 안 됐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그러면서 “앞으로 주요 법안들에 대한 국민의 이해가 더 확대되고 야당도 이해할 것”이라며 “(법안을) 하나하나 들여다보면 논리적으로 문제가 될 게 없는데, 정치적인 이유와 경제적인 논리가 혼동이 돼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경제 논리’로 쟁점 법안을 추진하려 하고 있는데, 야당은 ‘정치적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는 말을 에둘러 표현한 것이다. 국회 상황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이 대변인은 전했으나, 주요 법안 처리가 미뤄진 데 대해 참모들에게 안타까움의 뜻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안에서는 법안 처리 지연에 대해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에 대한 불만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한나라당 일각에서 일어나는 ‘홍준표 사퇴론’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나라당 의원들 안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은 그만큼 의원들의 생각이 다양하다는 뜻”이라며 “이를 계파적 분화로 보긴 힘들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청와대에서는 홍 원내대표에 대한 불만은 많지만, 청와대가 그의 진퇴 여부를 거론한다는 건 적절치 않다”고 덧붙였다.
이와 별도로 청와대 안에서는 한나라당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다. 또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한나라당과 청와대가 따로 움직인다”며 “대선 때 급조해서 뭉친 사람들이어서 구심점이 없고, 콩가루처럼 갈라져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대통령의 애초 생각은 ‘정치는 의원들이 알아서 하고, 나는 국정에 전념하겠다’였는데, 국회가 삐걱대니 국정이 제대로 안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며 “그렇지만 청와대가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으니 답답한 노릇”이라고 덧붙였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