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설에 바빠진 여당 의원들
재정부장관 임태희 의욕·이한구 눈독
법무장관 홍준표·장윤석 등 각축전 청와대가 13일 개각 가능성을 공식화하면서 한나라당 입각 희망자들의 각축전도 뜨거워지고 있다. 한나라당에서는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의 경질을 대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당장 기획재정부 장관에는 당·정·청의 긴밀한 협조 필요성을 강조하는 당 안팎의 정서를 배경으로 임태희 정책위의장이 뛰고 있고, 이한구 예결위원장도 내심 낙점을 바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식경제부 장관에는 친박근혜계인 최경환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관료 출신의 최 의원은 한나라당 수석정조위원장이라는 전문성과 함께 이른바 ‘탕평인사론’ 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기획재정부 장관에 윤증현 전 금융감독위원장, 김석동 전 재경부 차관 등 경제관료가 기용되고, 임태희 의장이 지경부 장관에 기용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등 ‘친이-친박 신경전’도 계속되고 있다. 법무부 장관 자리에도 관심과 경쟁이 치열하다. 법무부 쪽은 ‘김경한 장관 유임론’을 제기하지만, 한나라당 당직자들은 “촛불시위 등에서 무력했던 김성호 국정원장이 교체되고, 김경한 장관이 그 자리를 희망하고 있다고 들었다”며 김 법무장관 교체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검찰 쇄신론’을 역설하며 법무부 장관 낙점을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여기에 검찰국장 출신인 장윤석 제1정조위원장과 서울지검장을 지낸 이범관 의원도 검찰 내부의 신망과 전문성을 근거로 자신들이 적임자라며 각개약진을 벌이고 있다. 한편, 이명박 정부의 취약점인 정무능력 보강을 통한 당·정·청 소통 강화, 야당과의 대화 채널 구축을 위해 정치인 출신 특임장관 임명 가능성도 끊임없이 거론되고 있다. 한나라당 한 고위 당직자는 “특임장관은 여야 대화가 되어야 한다”며 “이런 자리에는 야당과 집중적인 대화를 해온 주호영 원내수석부대표가 적임자”라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법무장관 홍준표·장윤석 등 각축전 청와대가 13일 개각 가능성을 공식화하면서 한나라당 입각 희망자들의 각축전도 뜨거워지고 있다. 한나라당에서는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의 경질을 대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당장 기획재정부 장관에는 당·정·청의 긴밀한 협조 필요성을 강조하는 당 안팎의 정서를 배경으로 임태희 정책위의장이 뛰고 있고, 이한구 예결위원장도 내심 낙점을 바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식경제부 장관에는 친박근혜계인 최경환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관료 출신의 최 의원은 한나라당 수석정조위원장이라는 전문성과 함께 이른바 ‘탕평인사론’ 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기획재정부 장관에 윤증현 전 금융감독위원장, 김석동 전 재경부 차관 등 경제관료가 기용되고, 임태희 의장이 지경부 장관에 기용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등 ‘친이-친박 신경전’도 계속되고 있다. 법무부 장관 자리에도 관심과 경쟁이 치열하다. 법무부 쪽은 ‘김경한 장관 유임론’을 제기하지만, 한나라당 당직자들은 “촛불시위 등에서 무력했던 김성호 국정원장이 교체되고, 김경한 장관이 그 자리를 희망하고 있다고 들었다”며 김 법무장관 교체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검찰 쇄신론’을 역설하며 법무부 장관 낙점을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 여기에 검찰국장 출신인 장윤석 제1정조위원장과 서울지검장을 지낸 이범관 의원도 검찰 내부의 신망과 전문성을 근거로 자신들이 적임자라며 각개약진을 벌이고 있다. 한편, 이명박 정부의 취약점인 정무능력 보강을 통한 당·정·청 소통 강화, 야당과의 대화 채널 구축을 위해 정치인 출신 특임장관 임명 가능성도 끊임없이 거론되고 있다. 한나라당 한 고위 당직자는 “특임장관은 여야 대화가 되어야 한다”며 “이런 자리에는 야당과 집중적인 대화를 해온 주호영 원내수석부대표가 적임자”라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