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하 하려면 다음 다다음정권서…”
‘4대강-대운하’ 연계 속내 드러내
‘4대강-대운하’ 연계 속내 드러내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7일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한반도 대운하에 대해 “하려면 다음 정권이 할 것”이라고 한 발언을 두고 ‘4대강 사업이 대운하 전단계’란 점을 이 대통령이 스스로 인정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대통령은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운하는) 하려면 다음이나 다다음 정권이 할 거고 내가 할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발언을 두고 야당과 전문가들은 29일 4대강에 만든 보의 갑문을 운하의 갑문으로 개조하면 되기 때문에 4대강 사업을 통해 한반도 대운하의 1단계를 완성하려 한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동안 4대강과 대운하가 관계없다고 강조해 온 이 대통령이 4대강과 대운하를 연계하려고 하는 속내를 드러냈다는 것이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는 “현재 대다수 보는 갑문을 열어서 물을 통할 수 있게 하는 ‘가동보’로 만든다”며 “가동보를 운하의 갑문으로 조금 개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가동보를 운하로 바꾸는 것은 어려운 공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철재 환경운동연합 대안정책국장은 “만약 다음 정권이 대운하 타당성 평가를 하면 4대강 살리기 비용은 이미 투자된 매몰 비용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대운하가 경제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이 대통령이 ‘대운하는 다음 정권이 판단한다’는 말은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둔 계산”이라고 말했다.
노영민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어 “이명박 대통령은 우선 4대강 사업이라도 해서 여기저기 보를 막고 물을 가두어야 다음 정권이 대운하를 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는 식으로 말하고 있다”며 “대운하에 대한 강한 집착과 미련을 갖고 4대강 공사를 임기 내에 끝내려고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수심 6m 이상 유지하도록 물을 가두겠다는 것은 (4대강 사업이) 대운하를 하기 위해서란 의혹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수심 6m 이상이면 배가 다닐 수 있는 운하의 조건이 충족되기 때문에 4대강 살리기를 통해 사실상 운하의 1단계가 완성된다는 것이다. 권혁철 남종영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