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필요성 인정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 판단”
친박 “국론분열” 친이 일부 “이장관쪽만 얘기해”
친박 “국론분열” 친이 일부 “이장관쪽만 얘기해”
‘이재오발 개헌론’에 급제동이 걸리는 흐름이다. 14일 청와대와 친박근혜계에서 동시에 뜬금없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재오 특임장관 쪽은 최근 개헌론의 가속페달을 밟았다. 이 장관이 지난 6일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올해가 개헌의 적기’라고 말한 데 이어 그의 측근인 이군현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가 지난 12일 민주당에 4대강 검증특위와 개헌특위 구성 ‘빅딜’을 제안해 논란을 촉발했다. 14일엔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여권 핵심 관계자를 불러 개헌 추진을 독려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가 더해졌다.
그러나 청와대는 손사래를 쳤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지난해와 올해 8·15 경축사에서 평소 생각하던 정치 선진화에 대한 문제인식에 관해 말씀을 했다”며 “그러나 개헌의 방향성에 대해 어떠한 공적, 사적 자리에서도 말한 적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다른 핵심 관계자들도 “이 대통령은 개헌을 할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여야 합의 없이는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여야 정치권에서 분권형 개헌을 성사시키기를 바라지만, 그렇다고 청와대가 개헌에 공개적으로 앞장서지는 않겠다는 게 청와대의 속내다.
한나라당의 친박계는 불쾌감을 표출했다. 박근혜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이날 “특정 정당, 특정 정권, 특정 정파 또는 특정인이 주도하는 개헌은 옳지 않다”며 “국민적 논의를 거치지 않은 개헌 추진은 불필요한 국론 분열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만큼 일절 응하지 않겠다”고 쐐기를 박았다. 이날 최고위원회에서도 친박근혜계인 서병수 최고위원은 개헌특위-4대강특위 빅딜설과 관련해 김무성 원내대표에게 항의했고, 김 원내대표는 “청와대 지시를 받은 것 전혀 없다. (친박 쪽에서) 오해 없길 바란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이명박계 안에서도 이재오 특임장관 쪽을 빼고는 개헌 추진에 부정적이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세종시 수정도 못하면서 어떻게 개헌을 추진하느냐”며 “지금 개헌을 무리하게 추진하다 실패하면 그 부담은 한나라당과 대통령에게 오며 레임덕을 부른다”고 말했다. 친이계의 다른 의원도 “이재오 특임장관과 그 측근들을 빼고는 개헌 얘기도 꺼내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승근 황준범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