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언론인 안치용씨가 11일 공개한 ‘이명박 BBK’ 명함. ‘이명박’이라는 이름이 ‘BBK 투자자문주식회사’의 회장 겸 대표이사라고 새겨져 있다. 출처 시크릿오브코리아.(http://andocu.tistory.com)
미국 LA법원 ‘BBK 사건’ 재판 과정서 증거로 나와
안치용씨 “이장춘 전대사 공개한 것과 동일” 주장
안치용씨 “이장춘 전대사 공개한 것과 동일” 주장
‘이명박’이라는 이름을 ‘BBK 투자자문주식회사’의 회장 겸 대표이사라고 새긴 명함이 ‘비비케이’(BBK)사건과 관련한 소송이 진행중인 미국 법원에 증거로 제출된 사실이 밝혀졌다.
이장춘 전 대사가 지난 대선 과정에서 BBK 논란과 관련해 ‘이명박 BBK 명함’을 공개한 데 이어 2번째로 공개된 명함이라 이명박 대통령이 이 명함을 가지고 실제 활동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것이어서 ‘BBK의 실 소유자가 이명박 대통령’이라는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재미 언론인 안치용씨는 11일 자신이 운영하는 블로그 ‘시크릿오브코리아’(http://andocu.tistory.com)에 “이명박 BBK 명함 또 나왔다”며 “이 명함에 전화번호가 가필돼 있었는데, 이 전화번호는 MB가 이사장을 맡았던 동아시아 연구원(뒤에 국제정책연구원으로 개칭)의 전화번호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안씨가 공개한 명함의 왼쪽 상단에는 ‘이명박 회장/ 대표이사’라고 한자로 인쇄되었고, 하단에는 주소와 함께 ‘BBK 투자자문주식회사’, ‘LKE 뱅크’, ‘EBANK 증권주식회사’라는 3개의 회사 이름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또 뒷면에는 같은 내용이 영문으로 적혀 있고, 앞면과 달리 전화번호와 팩스번호가 인쇄돼 있었다.
특히 이 뒷면 영문 명함 부분에는 볼펜으로 쓴 것으로 보이는 ‘ 011-822-536-5967’이라는 전화번호가 가필돼 있었다. 이 번호는 명함을 주는 쪽에서 명함을 받은 사람이 한국이 아닌 미국 등에서 국제전화로 전화를 쉽게 걸기 위해 상세한 번호를 안내한 것으로 보인다. 즉 ‘011’은 국제전화 접속번호로 미국 등에서 국제전화를 걸 때 맨 앞에 눌러야 하는 번호이고, ‘82’는 한국국가번호, ‘2’는 서울의 지역번호, 그 뒤 7자리가 개별전화번호인 셈이다.
안씨는 “전화번호를 조회한 결과 서울 서초동 영포빌딩에 주소지를 둔 동아시아연구원의 전화번호로 확인됐으며, 이 연구원이 MB의 씽크탱크인 국제정책연구원으로 이름을 바꾼 뒤에도 계속 이 번호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동아시아연구원은 이 대통령이 이사장을 맡았던 곳이고, 국제정책연구원으로 이름을 바꾼 뒤에도 백용호 청와대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류우익 현 통일부 장관 등 측근 인사들이 이사장을 맡았다.
안씨는 “이 명함을 누가 누구에게 주었는지 등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MB와 관계가 있는 동아시아연구원 전화번호가 적혀있는 것으로 미뤄 MB가 사용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며 적어도 동아시아연구원의 전화번호에서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이 명함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안씨는 명함의 출처와 관련해 로스앤젤레스지방법원이 진행하고 있는 김경준 상대 손해배상소송에서 지난 2008년 8월 김경준 쪽이 증거로 이 명함을 제출했으며 2007년 11월 22일 대선직전 이장춘 전 대사가 공개한 것과 동일하게 인쇄된 명함이라고 밝혔다.
당시 이 대통령 쪽은 이 명함과 관련해 ‘위조 또는 사용하지 않고 폐기된 것’이라고 부인했었다. 그러나 안씨는 “이 전 대사의 공개에 이어 동일한 명함이 미국법원에 제출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MB가 실제로 이 명함을 사용하며 BBK 대표이사로 활동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안씨는 “이장춘 전 대사가 공개한 명함은 이번에 공개한 명함과 동일하게 인쇄되었지만, 이 전 대사가 영포빌딩 주소지를 받아 적어놓았고 이 명함은 그와 달리 전화번호가 가필돼 있기 때문에 MB가 이번에 공개한 BBK 명함을 적극적으로 뿌리고 다녔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안씨는 “MB가 위조 또는 사용하지 않고 폐기된 것이라고 해명했는데 왜 자꾸 이런 명함이 나오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며 “틈나는 대로 MB와 BBK 관련 증거들을 공개하겠다”며 추가 폭로도 예고했다.
한편, BBK 사건의 핵심 당사자인 김경준씨가 11일 공개한 팟캐스트 방송 ‘나는꼼수다’에서 “(지난 대선 당시) 기획입국과 관련해 처음에는 박근혜 쪽에서 나한테 와서 협상하자고 했다”고 밝히는 등 BBK 사건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박종찬 기자 pjc@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현대차, 정몽구회장 구명 로비 친노 386의원 8명에 1000만원씩 건네”
■ 전셋값 안정? 재계약 세입자 ‘속 모르는 소리’
■ ‘친이 보복, 친박 특혜’ 공천…“너무 심하다”
■ 삼성가 소송싸움 ‘계열사 이해관계’ 따라 갈리나
■ 구럼비 발파 막던 성직자 2명 첫 구속
이장춘 전 대사가 지난 대선 직전 공개한 ‘이명박 BBK’ 명함. 한겨레 자료사진.
■ “현대차, 정몽구회장 구명 로비 친노 386의원 8명에 1000만원씩 건네”
■ 전셋값 안정? 재계약 세입자 ‘속 모르는 소리’
■ ‘친이 보복, 친박 특혜’ 공천…“너무 심하다”
■ 삼성가 소송싸움 ‘계열사 이해관계’ 따라 갈리나
■ 구럼비 발파 막던 성직자 2명 첫 구속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