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편중 비판 피하려 ‘비 TK·비 호남’…4명 중 3명 서울 출신
‘신상필벌·엄단 중시’ 국정운영 스타일 반영할 ‘친위체제’ 구축
‘신상필벌·엄단 중시’ 국정운영 스타일 반영할 ‘친위체제’ 구축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검찰총장과 국세청장, 경찰청장 후보자를 지명하면서, 3일 지명한 남재준 국정원장 후보자를 포함해 이른바 ‘4대 권력기관장’의 인선을 마무리했다. 결과만 놓고 보면 박 대통령은 대선 때 약속했던 ‘지역 안배-대탕평 인사 원칙’보다, 대통령과 청와대의 뜻이 명확하게 반영되는 ‘강력한 사정라인 구축’에 무게를 실었다.
가장 관심을 모았던 검찰총장엔 서울 출신 채동욱 서울고검장이 전남 출신인 소병철 대구고검장을 제치고 지명을 받았다. 박 대통령이 예고한 ‘대탕평 인사’ 차원에서 소 고검장의 낙점이 점쳐지기도 했지만, 결국 박 대통령의 가장 큰 지원군인 영남 주류 인사들의 반대를 넘지 못했다고 한다.
대신 박 대통령은 지역 편중 비판을 피하기 위해 ‘비 티케이(TK·대구경북)-비 호남’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국세청장 후보자에 티케이의 지원을 받은 조현관 서울지방청장 대신, 대전 출신인 김덕중 중부지방국세청장을 지명했다. 경찰청장도 서울 출신 이성한 부산경찰청장을 택했다. 4대 권력기관장 중 3명을 서울 출신으로 배치해 지역색을 아예 빼버린 것이다. 다만 관가에서는 ‘대통령이 지역 안배를 하지 않으면, 이후 기관장들도 조직 인사 때 지역 안배에 큰 신경을 쓰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신상필벌’과 ‘엄단’을 강조하는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이 반영된 만큼, 사정라인은 한층 강력해졌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들의 의중이 실린 ‘친위체제’라는 분석도 있다.
우선 채동욱 검찰총장 후보자가 기업 수사 경험이 많은 ‘특별수사통’인 만큼, 향후 박 대통령이 강조했던 주가조작 사범이나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 등에 ‘칼날’을 겨눌 것으로 예상된다. 국세청은 이미 숨은 세원을 찾아나서는 등 ‘지하경제 양성화’에 팔을 걷어붙인 상황이다. 김덕중 국세청장 후보자는 2007년 국세청 기획조정관 시절 대국회 업무를 하며 당시 기획재정위원이던 박 대통령의 눈에 띄었다고 한다. 앞으로 김 후보자가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와 함께 ‘경제분야 사정라인’을 형성하며 박 대통령의 의중을 충실히 반영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이 ‘경찰청장 임기보장’이라는 약속을 뒤집고 경찰청장을 교체한 것은 ‘4대 사회악 척결’을 책임지는 경찰 조직을 일신해 긴장감을 불어넣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세평에서 순위가 밀렸던 이성한 경찰청장 후보자가 발탁된 배경에는 친박 핵심 참모들과의 두터운 친분이 작용했다는 뒷말도 있다. 오는 18일 청문회가 예정된 남재준 국정원장 후보자도 2005년부터 박 대통령을 도운 핵심 참모로 분류된다. 남 후보자는 일찌감치 국정원 내부 조직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을 예고한 바 있다.
4대 권력기관 외에 국무총리실과 행정안전부, 감사원도 전방위적인 공직복무 감찰활동에 나서면서 정부 출범 초기 ‘기강 잡기’ 국면이 예상보다 길게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감찰→기관장 물갈이→수사와 처벌’ 등의 수순을 밟는 역대 정부 초반의 사정 작업이 애초 예상보다 고강도로 진행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실은 35명의 직원들이 동원돼 감찰 활동을 벌이고 있고, 행정안전부도 자치단체 공무원들을 감찰 중이다. 양건 원장의 유임이 결정된 감사원도 ‘고삐 죄기’에 나서고 있다. 감사원은 현재 공직감찰본부 소속 감찰인력 85명을 투입해 ‘비상시기 복무기강 특별점검’에 들어가 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오세훈 “주민 57% 개발에 동의”…파산 책임론 반박
■ 하루만에 여당서…“한만수·최문기 부적절”
■ ‘막강 파워’ 미래연구원, 어떤 곳?
■ 승부사 내던진 강호동 소심한 변신
■ 남편과 딸은 서로 좋아 죽는데 나는 미워 죽겠어
■ 오세훈 “주민 57% 개발에 동의”…파산 책임론 반박
■ 하루만에 여당서…“한만수·최문기 부적절”
■ ‘막강 파워’ 미래연구원, 어떤 곳?
■ 승부사 내던진 강호동 소심한 변신
■ 남편과 딸은 서로 좋아 죽는데 나는 미워 죽겠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