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관 인사권자는 장관…할 말 없다”
“허리 아래 일, 무슨 수로 검증하나”
여당선 “대통령 인사스타일 고쳐야”
“허리 아래 일, 무슨 수로 검증하나”
여당선 “대통령 인사스타일 고쳐야”
김학의 법무부 차관이 ‘성접대 의혹’에 휘말려 사의를 표명한 21일 저녁, 청와대 인사들은 허탈감과 분노가 뒤엉킨 복잡한 심경을 감추지 못했다. 마치 지뢰밭을 통과하는 것처럼 박근혜 대통령이 인선을 할 때마다 부실검증 논란에 휩싸이고 자진사퇴자가 줄을 잇다 결국엔 성접대 연루 의혹이라는 최악의 추문까지 터져나왔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우리가 왈가왈부할 일이 아니다”라며 공식적인 언급을 삼갔다. 임면권자인 박 대통령에게 날아올 ‘책임의 화살’을 부담스러워하는 눈치다. 하지만 한 고위 관계자는 “아무리 소문이 나돌았다고 해도 ‘허리 아래’ 이야기인데, 본인이 아니라고 하는 이상 무슨 수로 더 검증을 하겠느냐. 우리는 아니라는 말을 믿을 수밖에 없었다”고 허탈해했다.
의혹이 확인되진 않았더라도 김 차관 스스로 문제가 될 줄 알았다면 차관직 제의를 거절했어야 한다는 뒷말도 나온다. 한 핵심 관계자는 “이런 의혹을 받고 있다면, 상식적으로 아무리 좋은 자리라고 해도 넙죽 받아서는 안 되는 것 아니냐. 어떻게 차관직을 수락했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분노했다. 이런 분위기 때문에 사퇴에 앞서 허태열 비서실장이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선 “청와대에서 그 사람을 옹호하거나 비호해줄 이유가 없다”는 방침이 정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곤혹스러운 분위기 속에 박 대통령이 인사 스타일을 획기적으로 고쳐야 한다는 요구가 나왔다. 민현주 대변인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이런 사태가 발생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본인이 국정운영과 청와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서 사퇴한다고는 했지만 혐의를 강력히 부인한 만큼 조속히 사실관계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길 바라고, 이 결과에 따라 합당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민 대변인은 “이번 일을 계기로 인사검증 시스템이 좀더 잘 가동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 중진 의원은 “박 대통령 혼자만의 인재풀을 갖고 인사를 하다 보니, 정권 초반인데도 ‘허니문’ 기간도 없이 정부에 대한 신뢰나 지지도가 너무 추락했다. 지금이라도 인사 시스템을 새로 짜야 한다”고 말했다. 조혜정 송채경화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진영 낯뜨거운 ‘박비어천가’…“대통령께 업무보고 가슴 벅찬 감동”
■ 청와대, 김학의 성접대 의혹에 ‘허탈’…선긋기 급급
■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귀국한 이유는?
■ 자살한 울산 복지공무원 유서 내용이…
■ 불교방송 ‘멱살잡이’ 속내는?
■ 진영 낯뜨거운 ‘박비어천가’…“대통령께 업무보고 가슴 벅찬 감동”
■ 청와대, 김학의 성접대 의혹에 ‘허탈’…선긋기 급급
■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 귀국한 이유는?
■ 자살한 울산 복지공무원 유서 내용이…
■ 불교방송 ‘멱살잡이’ 속내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