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참사’로 점수 잃은 정부
민생정책 본격화 주도권 시동
민생정책 본격화 주도권 시동
박근혜 정부가 1일 첫 부동산 대책을 내놓음으로써 민생 챙기기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 ‘대리사과’와 당·정·청 워크숍을 통해 ‘인사 참사’ 국면을 일단 진정시켰다고 판단한 청와대는, 부동산 대책을 시작으로 국정 운영의 동력을 찾는데 부심하고 있다.
조원동 경제수석은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하늘이 놀랄 정도로 새로운 건 없다. (하지만) 대통령이 굉장히 강조하는 협업의 결과로, 각 부처가 낼 수 있는 최대한의 엑기스를 다 냈다. 박근혜 정부가 강조하는 협업이 첫번째 효력을 나타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부동산 대책의 ‘공’을 박 대통령에게 돌린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이젠 아우토반 위를 달리는 것처럼 국정 운영에 속도를 내야 한다. 출발은 좀 늦었지만, 운전자가 워낙 베테랑이라 속도를 내는 데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 임기 초반 인사 실패로 발이 꼬였지만, 박 대통령이 ‘준비된 대통령’으로서 실력을 보여줄 때가 왔다는 것이다.
청와대 참모들의 이런 발언은, “초기 100일에 새 정부의 성패가 달려 있다는 각오로 국정과제를 하나하나 잘 챙겨 달라”는 박 대통령의 당부에도 불구하고 인사 문제로 ‘까먹은’ 한달 남짓을 하루빨리 만회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수세에서 벗어나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얘기다.
문제는, 이런 다급함을 해결해줄 계기를 찾는 것이다. 청와대는 일단 홍보 강화와 새 이슈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허태열 비서실장은 최근 각 수석들에게 당장 보여줄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출하고 홍보도 강화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또 “현장에 답이 있다”는 박 대통령의 지론을 뒷받침할 현장 행보를 강화하고, 취임 이후 뒷전으로 밀렸던 대통합 컨셉트를 ‘재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물론 청와대가 당장 정책을 쏟아내거나, 단기적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두 달 안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기는 어렵다. 준비하고 있는 주요 정책들도 대체로 5월에 가서야 발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여당인 새누리당과의 공조를 튼튼히 해, 4월 임시국회에서 민생법안을 순조롭게 처리하는 것도 돌파구의 하나로 거론된다.
부처별 업무보고가 마무리되는 4월 중순 무렵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공기업 인사는 민생 행보에 가속페달이 될 수도, 브레이크가 될 수도 있다. 그 인사를 무난하게 끝내지 못하고 앞서 장·차관 인사 때처럼 또다시 ‘동티’가 난다면, 여당의 반발은 지금보다 더 거세질 가능성이 높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