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단거리 미사일 발사 반응
중장거리 미사일과 달리
갈등키울 사안 아니라고 판단
북과의 냉각기 길어질수도
중장거리 미사일과 달리
갈등키울 사안 아니라고 판단
북과의 냉각기 길어질수도
청와대는 북한이 18일 동해안 일대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유도탄을 세 차례 발사한 데 대해 “분명한 도발”이라고 규정하고, 북한에 도발행위의 중단을 촉구했다.
김장수 청와대 안보실장은 19일 “(북한의 유도탄 발사는) 도발 행위가 분명하다. 하지만 북한이 도발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북한은 더이상 도발과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고 김행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북한의 추가 도발 행위가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행 대변인은 “(북한이 발사한 게) 중장거리 미사일이 아니어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거나 할 상황은 아니다”면서도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국방부와 함께 처음부터 끝까지 발사과정을 지켜보고 있었으며, 대북감시태세를 강화하는 등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또 “박근혜 대통령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 과정을 국가안보실로부터 실시간으로 보고받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청와대가 이번 유도탄 발사를 심각한 사안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는 아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일이 당장 개성공단 문제 등 남북이 빚고 있는 갈등을 증폭시킬 만한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 다만 최근 이어지고 있는 냉각기가 좀 더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백악관도 북한의 유도탄 발사와 관련해 도발 행위를 중단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케이틀린 헤이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성명을 내어 “북한은 위협과 도발로 아무것도 얻지 못할 것”이라며 “이는 고립을 심화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런 도발과 위협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훼손한다”며 “우리는 국제사회의 의무를 준수하고 평화의 길을 선택하라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요청에 북한 지도부가 귀기울일 것을 지속적으로 촉구한다”고 말했다.
석진환 기자,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