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군지휘관들과 오찬 박근혜 대통령이 7일 낮 전군주요지휘관 오찬장인 청와대 영빈관으로 정승조 합참의장을 비롯한 군지휘관들의 박수를 받으며 입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북쪽 장관급의 박대통령 면담 가능성도 열어둬
서울·평양에 ‘교류협력사무소 설치’ 논의 전망도
DJ·노무현정부 인사들 “정부가 전향적인 조처를”
서울·평양에 ‘교류협력사무소 설치’ 논의 전망도
DJ·노무현정부 인사들 “정부가 전향적인 조처를”
12일 열릴 남북 장관급 회담의 주요 의제로 개성공단 및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이 꼽히고 있지만, 이 밖에 민간 차원의 6·15 남북 공동행사 개최 여부나 북쪽 대표단의 박근혜 대통령 면담 성사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야당이나 학계에서도 민간차원의 교류나, 장관급 인사를 통한 양국 정상의 간접 교류가 이뤄지면 향후 남북한의 신뢰 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는 일단 ‘남북간 협상 결과에 따라 의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논의할 수 있다’며 가능성을 비교적 폭넓게 열어 놓고 있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7일 ‘6·15 공동행사가 열릴 가능성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회담 (진행 상황을) 봐가며 해야 한다. 회담에 들어가기 전에라도 의제 설정이라든가 이런 부분에 진전이 있을 수 있다. 양쪽이 다 동의한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답했다. 9일에 있을 실무 접촉에서 6·15 공동행사와 관련한 부분도 논의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이다.
지난 정부에서 대북 문제를 담당했던 고위인사는 “우리 정부가 장관급 회담을 12일에 하자고 한 것은 6·15 공동행사를 하려면 15일 이전에 해야 한다는 점도 염두에 둔 것 같다. 북한도 이런 점을 고려해 시일이 촉박하지만 일요일인 9일에 실무접촉을 하자고 한 것이 아니겠느냐”는 분석을 내놨다.
문재인 민주당 의원, 임동원·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박지원 의원 등 제1, 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인사들도 이날 모임을 갖고 6·15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남북 공동행사를 여는 게 좋겠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남북 당국간 회담이 재개되는 시점이니 정부가 그동안 불허해온 6·15 공동 기념행사를 남북이 함께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7·4 남북 공동성명 행사도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남북 공동행사가 될 수 있도록 정부가 선제적이고 전향적인 조처를 취해주길 바란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홍익표 민주당 원내 대변인이 전했다.
회담을 위해 서울을 방문한 북쪽 장관급 인사가 회담 전후로 박 대통령을 면담할지도 중요한 관심사 중 하나다. 이정현 수석은 “일단은 당국 간 회담을 하자는 것이며, 그(면담)와 관련된 논의는 남북 간 대화의 진전에 따라 또 다른 진전된 의견교환이 이뤄져야 한다. 지금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명확한 태도를 밝히진 않았지만, 이 역시 가능성을 열어둔 셈이다.
이와 관련해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당국자 회담이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져야 제대로 된 합의가 이뤄질 수 있고, 신뢰관계가 선다. 서울에서 열리면 북한 쪽 회담 대표가 박 대통령을 면담해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메시지를 직접 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2차 회담으로 평양에 갈 때 우리도 김 1위원장을 면담하면 양 정상의 메시지가 오갈 수 있어 굉장히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남북은 이번 장관급 회담을 통해 서울과 평양에 각각 ‘남북교류협력사무소’ 설치 문제를 논의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서울과 평양에 남북교류협력사무소를 설치하는 것은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지만, 최근 악화된 남북 관계 탓에 정부는 140개 국정과제를 선정하며 ‘여건을 감안해 설치를 검토한다’는 쪽으로 수위를 낮춘 바 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을 비롯해 향후 지속적으로 이뤄질 교류 현안을 서로 협의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협력사무소의 우선적인 설치가 필요한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석진환 하어영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돈을 만들고 쓰고 감추는 기술까지…‘돈의 달인’ 전두환
■ 북 “전화 개통합니다” 남 “알겠습니다”
■ ‘장타 군단’ 애틀랜타, 류현진 7승 사냥 제물될까
■ 황교안 법무장관의 교묘한 ‘원세훈 구하기’
■ [화보] 이건희 ‘신경영’ 20년, 삼성의 빛과 그림자
■ 돈을 만들고 쓰고 감추는 기술까지…‘돈의 달인’ 전두환
■ 북 “전화 개통합니다” 남 “알겠습니다”
■ ‘장타 군단’ 애틀랜타, 류현진 7승 사냥 제물될까
■ 황교안 법무장관의 교묘한 ‘원세훈 구하기’
■ [화보] 이건희 ‘신경영’ 20년, 삼성의 빛과 그림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