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연기한다고 발표한 다음날인 22일 오후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바라 본 청와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13.09.22.
이산상봉 위해 새 제안 계획 없음 시사
남북관계가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관광 재개 실무회담 연기로 다시 고비를 맞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의 향후 대북 대응 기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북문제는 박근혜 대통령이 비교적 여론의 후한 평가를 받고 있는 분야로, 대통령이 직접 추석 전부터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각별히 챙겼다고 한다.
청와대는 22일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 연기 통보에도 불구하고 대북정책 기조에 큰 변화 없이 북한의 태도를 지켜보며 향후 대응 수위를 정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전날 통일부가 강력한 비판 성명을 낸 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북한이 인도적 차원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꼭 성사시켜 주기를 바란다”고 수위 조절을 한 것과도 같은 맥락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향후 남북관계에 대해 “일단 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이번 상봉 연기가 당장 남북관계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거나 할 사안으로 판단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상화된) 개성공단은 (남북이) 서로 언급을 안 하고 있으니 큰 영향을 받을 것 같지는 않고,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관광 문제는 좀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기존처럼 계속 추진의사를 밝히되, 그렇다고 이산가족 상봉을 성사시키기 위해 별도의 해법이나 제안을 내놓을 계획은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과 동시에 다루고 싶어하는 금강산관광 재개에 대해서도 기존 방침과 달라진 게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번 연기 통보가 ‘이산가족 상봉’을 매개로 한 북한의 ‘밀고당기기’ 전략일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가 이에 끌려다니는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