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그간 야당이 제기한 요구들을 하나도 수용하지 않았다. ‘야당 무시’에 가까운 태도를 재차 보인 것이다.
박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야당이 촉구해온 ‘국가기관의 정치개입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제 도입’에 대해 “특검과 관련해서는 지금 재판중인 사안이기 때문에 대통령으로서 이런 문제에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오히려 박 대통령은 “연말에 여야가 많은 논의를 한 끝에 국가정보원의 정치 차단 방안에 협의를 했고 국정원법 등 관련법을 개정했기 때문에 이젠 제도적으로 그런 잘못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원천적으로 차단됐다”며 더는 국정원의 정치개입이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의 경제팀과 법무부·교육부 등에 대한 야권과 시민사회의 개각 요구에 대해서도 “(현재로선) 개각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이벤트성 개각은 안 된다”고 말했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최근 청와대에서 열린 신년 인사회에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대타협위원회’구성을 공개 제안한 데 대해서도 이렇다할 수용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또 민주당 등 야권이 지난해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공약한 대로 기초의원·기초단체장에 대한 정당공천 폐지 약속을 지키고, 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신년 기자회견에서 내놓으라고 요구했지만, 박 대통령은 정당공천과 관련해 아예 언급을 하지 않았다.
김한길 대표가 신년 기자회견에 앞서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지난 한해 많은 국민과 민주당이 대통령에게 요구한 내용에 대해 대통령이 응답하는 기자회견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지만, 결국 아무 소용이 없었다.
김관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신년 기자회견 직후 낸 당 공식 논평을 통해 “국민이 원하는 얘기가 아닌 대통령의 일방적 메시지만 담겨 있는 것 같아 아쉽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검 수용 요구나 노사관계의 회복을 위한 사회적대타협위원회의 구성 요구를 사실상 거부한 것도 매우 실망스럽다”며 “이번 기자회견은 국정 홍보의 장이 되고 말았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