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이 드레스덴 택한 이유는
동독정권 반대 첫 시위 일어난 곳
일부 “북한정권 자극 가능성” 우려
동독정권 반대 첫 시위 일어난 곳
일부 “북한정권 자극 가능성” 우려
청와대는 박근혜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 자신의 통일 구상을 밝히는 연설 장소로 독일 드레스덴을 선택한 것 자체가 박 대통령이 대내외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메시지’ 그 자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드레스덴은 독일 통일의 교훈을 가장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통일 전 동독 내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시작된 곳이고, 통일 후엔 서독 기업들이 대거 들어와 동독 지역의 많은 주민을 고용해 경제발전과 사회통합을 이뤄낸 곳”이라고 설명했다.
드레스덴은 2차대전 전까지는 ‘엘베강의 피렌체’ 등으로 불리며 북유럽 문화·예술의 중심지였으나 전쟁 당시 연합군의 융단폭격으로 25만명이 사망하고 도시 전체가 폐허가 된 아픈 역사가 있다. 하지만 통일 뒤 연방정부의 경제구조 개선사업 등에 힘입어 유럽의 대표적인 과학비즈니스 도시로 탈바꿈하며 통일 독일의 좋은 본보기로 꼽혀왔다. 동독 건국 40주년을 맞은 1989년 10월 민주화 촉구 시위가 처음 촉발된 곳도 드레스덴이었고, 헬무트 콜 당시 서독 총리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뒤 처음으로 동독 주민들 앞에서 ‘통일에 대한 열망’을 담은 연설을 한 곳도 드레스덴이다.
박 대통령은 27일 저녁 드레스덴이 있는 작센주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통일의 가장 중요한 원동력은 자유에 대한 갈망을 행동으로 옮긴 동독 주민들의 용기였다. 통일을 주도했을 뿐 아니라 통일 후 모범적으로 경제발전을 이룩한 작센주의 모습은 한반도 통일의 청사진”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지나치게 ‘드레스덴’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있다. 동독 정권에 반대하며 첫 시위가 일어난 곳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북한 정권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드레스덴의 경제발전 과정을 보면 통일 이후 기업들이 먼저 투자한 게 아니라, 반도체산업 발전 등을 위해 독일 정부가 옛 동독 지역에 천문학적인 보조금을 투입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정부가 드레스덴의 외형적 ‘상징성’에만 주목할 게 아니라, 이런 ‘통일 비용’까지도 충분히 고려하고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드레스덴/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