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 쇄신·국정 운영 전환 필요
청 “대통령 측근 되기 어려워”
내각 개편은 지방선거 이후에
‘총사퇴 뒤 선별’ 방식 유력
김장수 경질-김기춘 유임설도
청 “대통령 측근 되기 어려워”
내각 개편은 지방선거 이후에
‘총사퇴 뒤 선별’ 방식 유력
김장수 경질-김기춘 유임설도
박근혜 정부 2기 내각을 이끌어갈 국무총리 지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박 대통령은 이르면 22일, 늦어도 23일엔 새 국무총리 후보자를 지명할 예정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1일 “(인사 발표가) 이번주를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에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는 시점이어서, 박 대통령이 지명하게 될 총리 후보자는 인물 그 자체로 향후 인적쇄신 및 국정운영의 방향을 예고하는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19일 발표한 대국민담화의 진정성을 평가하는 첫 시험대이자, 6·4 지방선거 표심에도 영향을 미칠 변곡점이기도 하다.
정치권에선 자천타천으로 5~6명의 후보군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지만, 지금껏 박 대통령이 보여온 인사스타일로 봐선 언론에 오르내리지 않은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도 있다. 박 대통령은 여당 요구와 기존 인사에 대한 외부 비판을 고려해 ‘참신하고, 깨끗한’ 인물을 발탁하는 데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변화와 국면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란 점에서 대통령 측근이나 캠프 출신, 야당 비판이 집중될 만한 인물은 선택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인사청문회 뒤 곧바로 개각 등 신속한 후속 인사에 나서야 한다는 점에서 ‘청문회를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는’ 도덕성은 필수 항목으로 꼽힌다. 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자질과 도덕성 논란에 휘말리게 되면,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강도 높은 공직개혁을 예고한 박 대통령과 청와대는 돌이킬 수 없는 치명상을 입게 된다. 이런 이유로 여권 내부에선 안대희 전 대법관이나 조순형 전 의원, 조무제·김능환 전 대법관 등 청렴한 이미지의 인물들이 발탁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다만 현 정부 들어 법조인 출신들이 너무 많이 중용된다는 비판이 많아, 개혁 드라이브를 주도할 정치인 출신의 ‘정무형 총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총리 후보자 지명에 따른 내각 개편은 총리 청문회가 끝난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총리가 장관 후보자를 대통령에게 제청해야 하는데,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총리가 제청권을 행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개각 방식에 대해선 장관들 전원이 사직서를 내는 ‘내각 총사퇴’ 이후 선별적 개각으로 대통령과 총리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식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 비서진 개편은 개각 전에 이뤄질 수도 있다. 청와대 안팎에선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을 경질하는 대신 김기춘 비서실장의 유임 가능성이 거론된다. ‘총리와 비서실장 둘 다 교체하면 국정운영 공백이 너무 크다’는 게 표면적 이유지만, 박 대통령의 의중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함께 김 실장에 대해선 야권의 교체 요구가 거세 최종적으로 어떤 선택을 할진 미지수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