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동안 하루 1000만원 벌이
야당 “부적절한 소득 자인한셈”
3억원 기부시점 싸고도 공방
야당 “부적절한 소득 자인한셈”
3억원 기부시점 싸고도 공방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지난해 5개월여 만에 16억여원을 벌어들인 것이 ‘전관예우’에 따른 고액 수임료 논란으로 번지면서, 국회 인사청문회와 지방선거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안 후보자가 26일 ‘수임료 전액 사회 환원’ 뜻을 밝혔지만, 전관예우 논란에 휩싸인 안 후보자가 박근혜 대통령이 강조하는 ‘관피아’(관료+마피아, 민관 유착) 척결에 적합한 인물인지에 대한 비판론도 커지고 있다. 야당은 ‘정치적 기부’라며 기부의 진정성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안 후보자는 이날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액 수임료와 전관예우에 따른 논란에 대해 국민들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지난해) 변호사 활동을 한 이후 (현재까지) 약 1년 동안 늘어난 재산 11억여원도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든다. 사회에 모두 환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안 후보자는 지난해부터 올해 5월까지 벌어들인 수임료 중에서 4억7천만원을 이미 기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 후보자가 4억7천만원도 모자라 전액 기부를 선택한 것은 ‘5개월에 16억원’이라는 사실에 여론이 급격히 부정적으로 돌아서자 이를 신속히 진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3억원, 하루 수입으론 1천만원에 이르는 큰돈이고, 여태껏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전관예우’ 논란이 벌어졌던 수임료 규모로도 가장 많은 액수다.
야당은 안 후보의 사회 환원 발표에 대해 “스스로 부적절한 소득임을 자인한 것”이라며 사퇴를 주장하고 나섰다.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한발 더 나가 “안 후보자가 이미 기부했다고 밝힌 4억여원 가운데 3억원은 세월호 참사 뒤 정홍원 총리가 사임 의사를 밝히고 나서 기부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안 후보자가 총리를 염두에 두고 기부를 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했다.
안 후보자가 ‘공직 기강을 세울 적임자’라는 청와대의 발탁 이유도, 안 후보의 고액 수임료 탓에 오히려 여론의 반감만 살 처지에 몰렸다. 박 대통령이 내세우고 있는 ‘관피아 척결’이란 민간과 결탁한 공무원들의 전관예우 관행을 없애겠다는 것인데, 법원·검찰 고위직 출신 변호사의 천문학적 수임료 관행이야말로, 전관예우 악습과 관피아를 가능하게 한 원조 격이기 때문이다. 안 후보자는 회견에서 ‘전관예우’를 통한 수입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그가 국세청 세무조사 감독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서 조세사건을 수임했다는 점은 또다른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안 후보가 휘두를 ‘개혁 칼날’에 공무원들이 승복할 수 있겠느냐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세종시에 근무하는 한 경제부처 고위 간부는 “일반 서민들뿐 아니라, 평생 박봉에 시달리다 변호사 자격증도 없이 퇴직해야 하는 대다수 공무원한테 주는 상대적 박탈감도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무난한 청문회 통과를 예상했던 청와대와 여권도 이날 안 후보자의 기자회견 뒤 여론의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여권의 한 인사는 “후보 검증이 제대로 안 됐건, 참모들이 이런 사실을 알고도 후보로 추천했건, 어느 쪽이든 청와대가 여전히 안이한 태도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