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는 “양국 관계개선 첫걸음”
한-중 정상 ‘북핵 공조’ 재확인
한-중 정상 ‘북핵 공조’ 재확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0일 낮 11시50분께(현지시각)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역사 문제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중-일 정상이 정상회담을 연 것은 2012년 5월 노다 요시히코 총리와 원자바오 총리가 정상회담을 연 지 2년반 만이다.
이날 30분간의 회담이 끝난 뒤 아베 총리는 “양국이 전략적 호혜관계라는 원점으로 돌아가 관계 개선을 위한 첫걸음을 뗀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견줘 시 주석은 “일본 정부가 무라야마 담화 등 역대 정부의 담화를 계승해야 아시아 이웃나라와 미래를 향하는 우호적인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며 경계를 풀지 않았다. 시 주석은 특히 “최근 2년간 중-일 관계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시비곡직’(是非曲直·누구의 잘못인지)은 명확하다”고 말해 양국관계의 갈등 원인을 일본 쪽이 제공했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짚었다.
중-일 정상이 어렵게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며 관계 개선의 첫발을 내딛는 데는 성공했지만, 중-일 사이 불신의 벽이 서로 높아 본격적인 관계 개선으로 이어지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이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같은 장소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북핵 공조를 약속했다.
두 정상은 취임 뒤 5번째로 만난 이번 회담에서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과 핵능력 고도화 차단을 위한 의미있는 대화 재개를 위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안을 협의하자”고 의견을 모았다고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전했다. 시 주석은 박 대통령에게 회담 뒤 이어질 중-일 정상회담 개최 이유와 일본과 관계 개선에 나서게 된 배경 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중-일 정상회담을 불편하게 바라보는 한국 정부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주 수석은 “시 주석이 중-일 양국이 최근 합의한 4개 항목을 포함해 역내 주요 정세에 대해 상세한 분석과 평가를 박 대통령에게 말했고, 두 정상은 양국(한·중)의 상호 돈독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한-중-일 3국 외교협력을 위해 연내에 3국 외교장관회담을 열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으며 시 주석이 이에 공감했다고 주 수석은 전했다.
베이징/석진환 기자, 도쿄/길윤형 특파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