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 수습한 뒤 결정할 문제”
박대통령, 추후 교체 가능성 비쳐
총리교체 등 대폭 개각은 일축
박대통령, 추후 교체 가능성 비쳐
총리교체 등 대폭 개각은 일축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새해 기자회견에서 ‘청와대 내 특보단 신설’ 방침을 밝혔다. 청와대 인적쇄신 및 시스템 개편 요구와 관련해 밝힌 유일한 구상이다. 청와대는 특보단 신설에 대한 범위와 시기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향후 김기춘 비서실장의 거취와 연동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 때문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청와대도 새롭게 조직개편을 하고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고 국민과 소통해 나갈 것”이라며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주요 수석과 유기적으로 잘 연결해 일을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도록 주요 부문의 특보단을 구성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김 실장의 거취와 관련해서도 “당면한 현안들이 많이 있어서 그 문제들을 수습을 먼저 해야 되지 않겠느냐. 그래서 그 일들이 끝나고 나서 결정할 문제”라며 교체 가능성을 열어뒀다.
청와대 안팎에선 박 대통령의 이런 발언으로 미뤄볼 때 특보단 구성 등 청와대 시스템 개편과 맞물려 비서실장의 교체가 이뤄지거나, 개편 직후 적절한 시기에 실장이 예우를 받으며 자연스럽게 사퇴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여권에선 박근혜 정부 출범 2년을 맞는 다음달 말께 김 실장의 교체를 포함한 새로운 참모진 구성이 시도될 것이라는 전망과, 연금 및 노동시장 개혁 등 핵심 사안이 마무리되는 오는 5월께나 교체할 수 있다는 분석이 엇갈리고 있다. 물론 청와대 내부에선 김 실장의 교체와 관련해 후임자를 찾는 일이 쉽지 않아 교체 시기가 한없이 미뤄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박 대통령뿐만 아니라 이전 대통령들도 경제, 사정, 정치, 외교, 국방, 사회, 공보 등 다양한 분야에 특보를 둔 바 있는데, 이 특보제는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미국 백악관의 특별보좌관제도를 본떠 처음 만든 것이다. 여당이 정무와 홍보기능 강화를 요구하고 있는 만큼 정무특보와 홍보특보 신설 등은 확실해 보인다. 다만 박 대통령의 소통 방식이 지금과 같이 유지되는 한, 특보단 신설이 공식 조직을 지금보다 더 무력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한편, 개각 여부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해수부라든가 꼭 개각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데를 중심으로 검토를 해 나가겠다”며 국무총리 교체 등을 포함한 대폭 개각의 가능성을 일축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