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비판 발빠른 대응 왜?
다음주 초로 예정된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 출간을 앞두고 청와대가 30일 이례적으로 회고록 내용을 공개 비판하고 나선 가운데, 이명박 정부 때 인사인 이동관 전 홍보수석이 정치적 논란이 될 만한 사안을 담은 후속편 출간을 예고해 이번 사태가 전·현직 대통령의 정면충돌 양상으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 고위 관계자를 내세워 ‘2010년 세종시 수정안 부결 사태’를 설명한 회고록 내용에 대해 “유감”, “정치공학적 해석”이라고 비판한 뒤 “국민이나 당의 단합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의문”이라며 이 전 대통령을 정조준했다. 이를 두고 ‘인사’와 ‘증세’의 수렁에 빠져 있던 청와대가 ‘퇴로’를 열기 위해 의도적으로 전 정권과 각을 세운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청와대가 전직 대통령의 회고록이 정식 출간도 되기 전에 공개적으로 날 선 반응을 내놓는 것 자체가 이례적이기 때문이다.
친이계의 한 의원은 “요즘 열세에 놓인 청와대가 자기들보다는 이 전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인기가 없다고 보고 ‘엠비(MB·이 전 대통령) 때리기’로 시선을 돌리려는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친이계의 또 다른 의원은 “청와대가 요즘 뭐든지 예민하지 않으냐”고 말했고, 친이계의 다른 인사도 “청와대가 울고 싶은데 뺨 맞은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놨다. 친이계의 조해진 새누리당 의원은 “회고록은 책으로 보고 참고할 건 참고하고, 동의 안 되는 부분은 동의하지 않으면 되는 것”이라며 “청와대도 여야도, 책이 출간되기도 전에 정치적 논란거리로 삼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회고록 집필을 총괄한 김두우 전 홍보수석도 이날 오후 회고록 출간 기자회견에서 청와대의 반발에 대해 “언론보도 말고 책을 읽고 판단하는 게 맞다”고 일축했다.
청와대, 전 정권과 의도적 각세우기
‘국면전환’ 카드 활용 의도인 듯 이동관 MB정부 홍보수석은 방송서
“민감한 이야기는 2~3년 뒤에” 친박-친이 “제살 깎아먹기” 경계속
여당내 갈등으로 확대될수도 청와대는 또 남북정상회담 추진 비화가 회고록에 상세히 기술된 것에 대해서도 “민감한 문제가 세세하게 나오는 게 남북대화를 비롯해 국익에 도움이 되겠느냐는 우려가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현 정부는 출범 첫해 ‘국정원 댓글 사건’ 위기 탈출을 위해 회고록에 나온 것보다 더 예민한 ‘참여정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자체를 공개한 바 있다. 친박계와 친이계 모두 대외적으로는 이번 사태가 전·현직 정권의 충돌로 부각되는 것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친이계의 김용태 의원은 “이 문제가 전·현 정권이 대립·갈등하는 모습으로 비치는 것은 제 살 깎아먹는 일”이라며 “서로 자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친박계의 이정현 새누리당 의원도 “청와대가 전직 대통령이랑 싸울 일 있느냐”며 “(오늘 청와대의 반응은) 세종시 수정 관련해 명확한 사실관계를 국민에게 알리려는 뜻으로 봐야지, 티격태격하기 위한 것으로 볼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 측근인 이동관 전 수석은 이날 <와이티엔>(YTN) 인터뷰에서 “민감한 이야기는 2, 3년 뒤에 준비해서 쓰겠다는 생각 때문에 진짜 정치적으로 논란이 될 만한 사안이라고 판단한 것은 이번에 전혀 안 다뤘다”며 박근혜 대통령 임기 말에 회고록 2편이 나올 것을 예고했다. 청와대를 향한 공개적인 경고 메시지로도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회고록 탈고 이후 가족들과 외국 나들이를 갔던 이 전 대통령은 이날 저녁 8시20분께 귀국하는 공항에서 만난 기자들이 “청와대의 유감 표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수고가 많다”는 말만 되풀이할 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 전 대통령 쪽은 귀국 전에 직접 대응을 하지 않는 쪽으로 방침을 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석진환 황준범 기자 soulfat@hani.co.kr
‘국면전환’ 카드 활용 의도인 듯 이동관 MB정부 홍보수석은 방송서
“민감한 이야기는 2~3년 뒤에” 친박-친이 “제살 깎아먹기” 경계속
여당내 갈등으로 확대될수도 청와대는 또 남북정상회담 추진 비화가 회고록에 상세히 기술된 것에 대해서도 “민감한 문제가 세세하게 나오는 게 남북대화를 비롯해 국익에 도움이 되겠느냐는 우려가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현 정부는 출범 첫해 ‘국정원 댓글 사건’ 위기 탈출을 위해 회고록에 나온 것보다 더 예민한 ‘참여정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자체를 공개한 바 있다. 친박계와 친이계 모두 대외적으로는 이번 사태가 전·현직 정권의 충돌로 부각되는 것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친이계의 김용태 의원은 “이 문제가 전·현 정권이 대립·갈등하는 모습으로 비치는 것은 제 살 깎아먹는 일”이라며 “서로 자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친박계의 이정현 새누리당 의원도 “청와대가 전직 대통령이랑 싸울 일 있느냐”며 “(오늘 청와대의 반응은) 세종시 수정 관련해 명확한 사실관계를 국민에게 알리려는 뜻으로 봐야지, 티격태격하기 위한 것으로 볼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 측근인 이동관 전 수석은 이날 <와이티엔>(YTN) 인터뷰에서 “민감한 이야기는 2, 3년 뒤에 준비해서 쓰겠다는 생각 때문에 진짜 정치적으로 논란이 될 만한 사안이라고 판단한 것은 이번에 전혀 안 다뤘다”며 박근혜 대통령 임기 말에 회고록 2편이 나올 것을 예고했다. 청와대를 향한 공개적인 경고 메시지로도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회고록 탈고 이후 가족들과 외국 나들이를 갔던 이 전 대통령은 이날 저녁 8시20분께 귀국하는 공항에서 만난 기자들이 “청와대의 유감 표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수고가 많다”는 말만 되풀이할 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 전 대통령 쪽은 귀국 전에 직접 대응을 하지 않는 쪽으로 방침을 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석진환 황준범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