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국민과 약속한 기한 내에 공무원연금과 노동부문 개혁안이 마련돼야 한다”며, 이달 안에 정치권과 노사정위가 최종 합의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회의에서 “공무원연금 개혁을 위한 국민대타협기구의 활동시한이 28일이고, 노동시장을 미래지향적으로 개편하기 위한 노사정위의 대타협안 마련 기한도 이달 말까지”라고 지적하며, “이는 국민과의 약속이면서 미래 세대의 앞날이 달려있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노동개혁은 일자리 유지 및 청년 일자리 창출의 관건이 된다”며 “노동시장, 고용시장 구조개선을 위해 추진중인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 개편이 하루라도 빨리 마무리 돼야한다”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또 청년층으로부터 반발이 일었던 ‘청년 중동 진출’ 주문도 다시금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청년 일자리는 중동을 중심으로 하는 해외에 많이 있다. (청년실업을 초래하는 구직과 구인의) ‘미스매치’는 여기서 해결해야 하지 않는가. 왜냐하면 거기는 (일자리가) 많이 있으니까”라며 ‘중동이 청년실업의 탈출구’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관광, 의료, 지식산업 등 서비스 분야에서 투자가 획기적으로 일어나 일자리가 대대적으로 만들어지는 환경이 돼야 자영업 (몰락) 문제와 청년 일자리 문제가 해결된다”며 국회 계류중인 서비스산업발전 기본법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논란이 많았던 특보단 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비공개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해외출장 중인 김재원 정무특보 외에 주호영·윤상현 정무, 이명재 민정, 임종인 안보, 김경재·신성호 홍보특보 등이 참석했다. 정치권 일부에선 박 대통령이 특보단 회의를 수석비서관회의와 별도로 소집한 것을 두고 삼권분립 위배와 겸직 논란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