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중남미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뒤 위경련과 인두염 등으로 일정을 잡지 않았던 박근혜 대통령이 이르면 4일 업무에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3일까지 1주일째 안정을 취한 덕분에 어느 정도 건강을 회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이 업무에 복귀하면 4일 오전 수석비서관회의를 직접 주재할 예정이며, 어린이날인 5일에는 매년 청와대 경내에서 마련되는 어린이 초청행사에도 직접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1주일 동안 공식 일정을 소화하지는 않았지만 참모진들로부터 보고서를 제출받아 국정현안을 챙겼으며, 4·29 재보궐선거와 공무원연금 개편안 등에 대한 국회 논의 상황 등도 수시로 체크했다고 한다.
박 대통령이 4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 지난 2일 여야가 합의한 공무원연금 개편안에 대한 평가와 함께 그동안 강조해왔던 노동분야와 금융, 교육 등 4대 개혁과제 가운데 나머지 3개 분야 개혁에 대한 구상과 계획을 밝힐 가능성이 크다. 또 ‘성완종 리스트’ 파문 이후 예고했던 정치 개혁의 세부 내용이나 각론을 제시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후임 국무총리 인선 문제 등을 놓고 고심중이다. 청와대 안팎에선 박 대통령의 업무 복귀 이후 총리 인선 발표까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거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치권에선 ‘친박근혜계’ 현직 각료로 현재 총리대행을 맡고 있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포함해 황찬현 감사원장, 이명재 청와대 민정특보 등의 이름이 거론된다.
최근에는 박 대통령이 호남 출신을 포함한 ‘통합형 총리’ 후보를 발탁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물론 인사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할 수 있는 인사여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전제 조건이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