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공휴일·특사 등으로
침체 분위기 반전 의지
경축사 대일·대북메시지도 관심
14일 아베담화가 변수
침체 분위기 반전 의지
경축사 대일·대북메시지도 관심
14일 아베담화가 변수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 70주년을 맞는 올해 8·15 광복절을 집권 후반기 ‘새출발’의 동력으로 삼으려 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임시공휴일 제정, 특별사면, 경축사 등을 통해 ‘광복 70주년 축하’ 행보에 집중하면서 올 상반기를 휩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으로 인한 침체 분위기를 반전시키려는 의지가 강하다. 박 대통령은 광복절 주간이 시작되는 10일 열리는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밝힌 노동·공공·금융·교육 등 4대 분야 개혁에 대한 필요성을 거듭 밝힐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13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자를 확정해 발표한다. ‘국가 발전’과 ‘국가 대통합’을 주요 열쇳말로 제시한 만큼, 도로교통법 위반자와 민생 사범 등 200만명 이상이 사면 대상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또 집권후반기 대기업들의 고용·투자 확대 등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한 ‘회유책’으로 재벌 총수들의 사면이 이뤄질 예정이다. 에스케이 그룹의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부회장, 집행유예 중인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등이 대상으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15일로 예정된 광복절 경축사 내용에도 관심이 쏠린다. 광복절 축사는 대국민·대북·대일 등 크게 3가지 부문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 올해가 광복 70돌인만큼 특히 ‘대일’ 부문이 주목되고 있다. 박 대통령의 경축사는 아직 마무리가 되지 않은 상태로 알려졌다. 대일 관계 메시지는 오는 1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가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3일 오카다 가쓰야 일본 민주당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아베 총리 담화가 역대 담화의 역사인식을 확실하게 재확인해 양국 관계가 미래로 향하는데 큰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아베 담화’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대일 메시지는 강경해질 가능성이 높다.
대북 메시지에서는 새로운 의제를 제시하기 보다는 그간의 대북 관련 제안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