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권한대행에 거취 일임
국정공백 최소화할 필요 있어
정책과 정무 쪽 분리 수리할듯
국정공백 최소화할 필요 있어
정책과 정무 쪽 분리 수리할듯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돼 12일 청와대를 빠져나옴에 따라, 비서실장 등 청와대 참모·직원들의 거취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해 12월9일 국회의 탄핵소추안 의결로 박 전 대통령이 직무정지된 뒤, 청와대 직원들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보좌하는 역할을 해왔다.
현재 청와대 직원은 수석비서관급 이상 정무직과 비서관, 행정관, 행정요원 등을 합쳐 440여명에 이른다. 박 전 대통령의 대선캠프 출신 인사들과 학계·언론계 출신 등으로 청와대에 합류한 별정직 공무원과 각 정부 부처에서 파견 나온 직업 공무원들이 함께하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이 파면됐다고 해서 이들이 자동 면직되는 것은 아니다. 청와대 직원들은 박 전 대통령 개인이 아닌 대통령 직무를 보좌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의 거취 문제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헌정 사상 대통령이 처음으로 파면당한 상황인 만큼, 주요 참모들은 법적 책임과 별개로 정치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광옥 비서실장을 비롯한 수석비서관급 이상은 황교안 대행에게 일괄사표를 제출한 뒤, 황 대행에게 거취 문제를 일임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모는 “지금 당장이라도 그만두며 (대통령과) 함께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고 싶지만, 국정 공백을 방치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어 고민”이라고 털어놨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꾸릴 수 없는 다음 정부의 상황을 고려할 때 업무 인수·인계를 위해서라도 모두 물러나긴 어렵다는 얘기다. 그렇더라도 박 전 대통령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좌한 참모들은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는 비판도 있다. 이에 경제·미래전략·고용복지수석실 등 정책 부문과 정무·민정·홍보수석실 등 정무 분야의 거취가 엇갈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박 전 대통령이 12일 저녁 청와대를 공식적으로 떠난 만큼, 참모들의 거취 논의는 13일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