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청와대 본관 총무실에서 전사·순직자 유가족들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하며 인사하고 있다. 이날 오찬에는 제2연평해전 전사 병사 유가족과 K-9 자주포 폭발사고 순직 병사 유가족, 석란정 화재 순직 소방관 유가족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 제공
명절 연휴를 앞둔 29일 문재인 대통령은 제2연평해전 전사자, K-9 자주포 폭발사고로 순직한 병사,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순직 공무원, 토요일 과로로 순직한 집배원 및 최근 강릉 석란정 화재를 진압하다 숨진 소방대원 등 각종 공무를 수행하다 순직·전사한 이들의 유가족 33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다.
문 대통령은 “안녕하시냐는 인사를 드리는 것도 송구하지만 그래도 꼭 뵙고 싶었다”며 “오늘 여기에 오신 여러분들은 해마다 명절이 오면 가슴 한켠이 뻥 뚫리고 시리고 아프고 얼마나 서러우시겠는가 싶다”고 위로했다. 문 대통령은 제2연평해전 교전 당시 숨진 병사 가족들을 향해 “당시 순직과 전사가 구분이 안 되어 법적으로는 전사가 아니라 순직으로 처리됐다”며 순직자를 전사자로 소급 적용하는 관련 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니 곧 가족들의 소망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고 수습을 하다 또는 과로로 숨진 경찰관, 소방관, 방역 업무 공무원, 집배원 가족들에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업무 가운데 인력이 부족해서 생긴 것이므로 이 분야 인력을 늘려 업무 부담을 줄이고자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복지를 위해 헌신하시는 분들이 자신의 생명과 안전, 복지도 함께 챙길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에 대해 국가가 끝까지 예우한다는 자세를 가지고 따뜻한 보훈 정책을 제대로 하겠다는 약속을 끝까지 책임있게 지켜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현충일 추념사에서도 “국가를 위해 헌신한 한분 한분이 바로 대한민국이다. 보수와 진보로 나눌 수도 없고 나누어지지도 않는 그 자체로 온전한 대한민국”이라며 나라를 위해 싸우거나 일하다 숨진 이들을 제대로 예우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행사 말미에 “기왕에 이렇게 오셨으니 시간이 되시면 청와대 경내를 둘러보고 가셨으면 좋겠다”며 직접 국무회의실·접견실·집무실 등을 안내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