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4일 청와대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곽예남 할머니를 맞이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용수, 길원옥, 이옥선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8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국빈급 예우로 오찬을 함께하고, 2015년 12월28일 박근혜 정부가 맺은 ‘한-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가 ‘잘못된 합의’였다고 공식 사과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4일 박근혜 정부 당시 일본과 맺은 12·28 ‘위안부’ 피해자 합의(12·28 합의)에 대해 “할머니들의 의견을 듣지도 않고 뜻에 어긋나는 협의를 해 죄송하다”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지난달 27일 발표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의 조사 결과에 대해 이튿날 “피해자 중심 해결 원칙에 따른 후속 조치”를 지시한 데 이어 직접 피해자 할머니들을 만나 고개 숙이고 정부 입장을 설명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용수, 길원옥, 이옥선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8명을 청와대 본관으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만 별도로 청와대에 초대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과거 나라를 잃었을 때 국민을 지켜드리지 못했고, 할머니들께서도 모진 고통을 당하셨다. 해방으로 나라를 찾았으면 할머니들의 아픔을 보듬어드리고 한도 풀어드렸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며 “오히려 할머니들의 의견도 듣지 않고, 할머니들의 뜻에 어긋나는 합의를 한 것에 대해 죄송하고 대통령으로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이옥선 할머니는 “우리의 소원은 사죄를 받는 것이다. 사죄를 못 받을까봐 매일매일이 걱정이다”라며 “대통령께서 사죄를 받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불가역적 해결 확인’을 담은 2015년 12·28 합의를 그대로 수용할 수 없다는 뜻도 재확인했다. 그는 “지난 합의는 진실과 정의의 원칙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정부가 할머니들의 의견을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한, 내용과 절차가 모두 잘못된 것이다”라며 “대통령으로서 지난 합의가 양국 간의 공식합의였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으나 그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지난달 28일) 천명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오는 10일 오전 10시 청와대에서 내외신 기자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년사 발표와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라고 청와대는 밝혔다. 문 대통령이 “이른 시일 안에 후속 조치를 마련하라”고 정부에 지시한 만큼, 이번 회견에서 12·28 합의 후속 대책이 언급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4일 새해 기자회견을 열었으나 한-일 위안부 합의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고, 관련 질문도 나오지 않았다.
성연철 기자, 도쿄/조기원 특파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