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취임 뒤 처음으로 50%대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가 나왔다. 청와대와 여당은 최근 지지율 하향세의 원인을 분석하며 소통 강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는 지난 22~24일 전국 성인 1509명을 상대로 문 대통령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포인트), ‘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59.8%였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주(66%)보다 6.2%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하락세는 가파르다. 2주 전과 견주면 지지율은 10.8%가 빠졌다. 지난 19일 한국갤럽의 1월 3주차 조사에서도 문 대통령 지지율은 67%로 전주 대비 6%포인트 떨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겸허히 받아들이고, 정책을 보완해 신뢰받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은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 논란이 젊은층의 감정선을 건드리면서 지지율 하락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단일팀을 꾸리면 여론이 이해하고 지지해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 2030세대의 시각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 이들의 생각을 정확히 못 읽었다”고 털어놨다. 한 서울지역 민주당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공정성과 소통을 중시했는데 단일팀 진행 과정을 보면서 ‘대의를 위해 개인이 희생해야 한다’ 식의 ‘꼰대’ 느낌을 젊은층이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가 공개한 한국리서치 여론조사에서도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58.7%로 찬성한다는 응답(37.7%)보다 21%포인트 높았다. ‘평양’ 올림픽을 내세운 자유한국당의 이념공세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과의 교류가 급하게 진행되는 데 대한 보수층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가상화폐 규제, 유아 영어교육 금지 등 정책 혼선도 문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세로 바뀌는 데 주된 원인이 된 것 같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가능성을 언급하자, 청와대는 곧바로 “확정된 사안이 아니다”라고 한발 물러서며 혼선을 노출했다. 김영진 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은 “젊은이들의 계층 상승 출구가 막혀 있다 보니 가상화폐 혼선에 반발이 더 큰 것 같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을 두고 여당 일부에선 6·13 지방선거에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여권 관계자는 “불안한 지점이 있다. 이제부터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소통 및 정책 점검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최저임금 인상 우려와 관련해선, 장하성 정책실장을 중심으로 한 최저임금 태스크포스가 연일 대책회의를 열고 현장 방문을 통한 ‘민심 청취’를 강조하고 있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지지율 하락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만 완전한 이탈이나 지지 철회로는 보지 않는다”며 “정책 입안과 집행 과정에서 공정성과 소통 부분을 좀더 섬세하게 챙겨봐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성연철 송호진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