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30일 정부의 장차관을 청와대로 소집해 올해 국정운영 기조를 공유하는 ‘정부 부처 장차관 워크숍’을 연다. 주요 정책을 부처 간 조율 없이 발표해 혼선을 빚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 부처가 함께 숙지해야 할 정책을 공유하고, 청년실업 대책, 최저임금 안착, 국민안전 3대 프로젝트 등 범정부 차원으로 역량을 결집할 의제를 토론할 예정이다. 정부 출범 이후 문 대통령이 주재하는 장차관 워크숍은 이번이 처음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8일 “통상 1월에 각 부처가 대통령에게 하던 새해 업무보고를 올해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대신 받았다. 지난해 8월 정부 출범 이후 첫 업무보고를 받은 지 몇 개월 지나지 않았고 책임총리제를 구현하자는 취지도 있었다”며 “이번 워크숍은 가상화폐 대책 등 여러 부처가 연관된 주요 정책이 부처 간 혼선으로 비친 측면이 있었던 만큼 이와 같은 일이 재연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성격도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여러 부처가 관련된 정책일 경우 각 부처의 입장이 다른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도 “부처 간 협의와 입장 조율에 들어가기 전에 각 부처의 입장이 먼저 공개돼 정부 부처 간 엇박자나 혼선으로 비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워크숍에서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평창겨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세심한 관리가 절대적인 남북관계 개선에도 모든 정부 부처가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할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법안을 포함해 정부가 추진 중인 개혁과제를 다룰 2월 국회에 대한 논의도 오갈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최근 평창올림픽·패럴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초당적 협력을 요청하면서, 청와대 참모들에게 “여야 원내대표 초청 회동 추진 등 국회와 협력을 위한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하라”라고 지시한 바 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