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특별사절단 수석특사로 북한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앞줄 왼쪽)이 지난 5일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김 위원장의 왼손에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가 들려 있다. 맨 오른쪽에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보인다. 청와대 제공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의 3월1주 여론조사 결과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지난주보다 7%포인트 상승한 71%로 집계됐다. 두달여 만에 70%를 회복한 것으로, 최근 남북대화 국면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갤럽이 지난 6~8일 전국 성인 10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9일 공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신뢰수준에 ±3.1%포인트) 결과를 보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71%가 긍정평가 했고, 22%가 부정평가를 했다. 긍정평가는 2월5주 조사(2월27~28일)보다 7%포인트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4%포인트 하락했다. 갤럽은 “긍정률 기준으로 볼 때 지난주 하락했던 20대·50대에서 다시 올랐고, 특히 60대 이상에서 상승폭이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60대는 2월5주조사에서 48% 긍정적으로 평가했는데, 이번 조사에서 61%로 긍정평가가 13%포인트 상승했다.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크게 상승한 것은 최근 대북 특별사절단이 방북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난 뒤 4월말 정상회담 개최 등 6개항의 합의 내용을 발표하는 등 남북 관계 개선 흐름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갤럽이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709명·자유응답) ‘북한과의 대화 재개(18%)’가 1위로 나타났다. 갤럽은 “긍정평가 이유 1순위는 ‘북한과의 대화 재개’, 부정평가 이유 1순위는 ‘대북 관계·친북 성향’으로 대비된다. 이는 대북 특사단 성과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북한 이슈는 대통령 직무평가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었다”며 갤럽은 다음과 같은 분석을 내놨다.
북한 이슈는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직무평가에 매우 큰 영향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임 대통령 임기 중 가장 두드러진 예로는 '8.25 남북 합의'를 들 수 있다. 남북 경색 국면을 이어가던 2015년, 8월 20일 발생한 서부전선 교전으로 북한은 준전시 상태 선포, 우리 군은 최고 경계 태세에 돌입하는 등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이틀 후인 22일부터 남북 고위급이 판문점에서 마라톤 협상을 벌인 끝에 극적으로 타결, 25일 새벽 2시 6개 항목의 공동합의문을 발표했다.
직후 조사에서 우리 국민 65%가 8.25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북한이 합의 내용을 잘 지키지 않을 것이란 응답 또한 69%에 달해 북한에 대한 깊은 불신을 짐작케 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34%에서 49%로 15%포인트 상승하며 10개월 만에 부정률을 앞섰다.
한편,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9%,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 27%, 자유한국당 12%, 바른미래당 6%, 정의당 5%, 민주평화당 1% 순이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5%포인트 상승했고 바른미래당은 2%포인트 하락다. 자유한국당·정의당은 각각 1%포인트 줄었다.
이번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갤럽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