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7일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미 확대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를 하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월7~8일 1박2일간 방한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지난 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 간 통화를 끝으로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대 강국으로부터 ‘판문점 선언’ 지지를 끌어낸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일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향한 외교 대장정에 들어간다. 문 대통령은 5월말 또는 6월로 점쳐지는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2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에서 만나기로 확정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5일 “문재인 대통령은 트럼프 미 대통령의 초청으로 워싱턴을 방문해 22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발표하면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28일 전화통화를 한 데 이어 이번 정상회담에서 4월27일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반도 정세의 진전을 이루어 나가기 위한 긴밀한 공조를 계속하는 한편, 다가오는 북-미 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제반 방안에 대해서 중점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4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비밀 만남을 전하면서 “한반도 비핵화 목표 달성을 위한 양국 간 긴밀한 공조방안 등의 조율을 마쳤다. 한-미 정상이 관련 사항을 계속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가올 한-미 정상회담은, 지난해 6월30일(한국시각) 문 대통령의 방미, 11월7일 트럼프 대통령의 국빈 방한에 이은 것으로, 지난해 9월22일 유엔 총회에서 양국 정상이 만난 것까지 합치면 취임 1년여 만에 네번째가 된다.
북-미 정상회담을 목전에 두고 만나는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회담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한-미 간 전략 조율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 판문점 도보다리 회담을 포함해 오랜 시간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눈 만큼, 판문점 선언에는 담기지 않은 김 위원장의 장기 구상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누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핵 대신 경제를 택한 배경과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을 포기하는 대신 보장받기를 원하는 한반도 비핵지대화와 경제적 실익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속 깊은 대화를 나눌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이 미국 방문 전에 김정은 위원장과 첫 핫라인 통화를 해 김 위원장으로부터 비핵화 등에 대한 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서는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남·북·미 혹은 남·북·미·중 4자 회담이 큰 시차를 두지 않고 이어질 수도 있다.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한반도 평화체제에 관한 논의가 오는 9월 유엔총회의 가장 중요한 의제가 될 가능성도 있다.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문 대통령은 9일 취임 이후 처음 일본을 방문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와 만나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3국 협력 강화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남북 정상이 합의한 정전협정의 평화협정 전환은 물론, 앞으로 주요 의제로 오를 가능성이 있는 동북아 다자안보체제 구축에서 두 나라의 역할이 크기 때문이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