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운데),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맨 왼쪽)와 함께 9일 오전 일본 도쿄 영빈관 가초노마에서 열린 제7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 언론 발표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9일 일본 도쿄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하고 ‘남북정상회담 관련 특별성명’ 채택에 합의했다. 세 정상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에서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확인한 것을 환영하고,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기대하며,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이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세 나라가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세 정상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75분 동안 도쿄 영빈관에서 제7차 한·일·중 정상회의를 갖고 삼국간 실질협력 증진 방안을 협의하고, 한반도 등 주요 지역 및 국제 정세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지난달 27일 판문점에서 연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완전한 비핵화와 핵 없는 한반도 실현에 관한 목표를 직접 확인했으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 남북 관계의 발전을 위한 실천 조치를 담은 판문점 선언을 채택했음을 리커창 총리와 아베 총리에게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바탕으로 북-미 정상회담을 비롯한 북한과 국제사회의 대화가 성공적으로 이뤄져 한반도에서 냉전적 대결구도가 해체되고, 한반도와 동북아 및 세계의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역사가 만들어지길 바란다”며 “이 과정에서 한국은 일본·중국과 전략적 소통과 협조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오랜 시간 진솔한 대화를 통해 김 위원장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의 폐기를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힌 것은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한 의지를 잘 보여준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아베 총리와 리 총리는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된 데 대해 축하와 환영의 뜻을 전하면서 일본과 중국도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건설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판문점 선언 환영 △북-미 정상회담 성공적 개최 △동북아 평화·안정 위한 삼국 공동 노력 등을 담은 특별성명을 채택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세 정상은 회의를 마친 뒤 이런 내용을 뼈대로 공동언론발표를 했다. 리 총리가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환영하고 기대하고 지지한다. 현재 기회를 잡아서 대화를 재개하고 한반도의 정치적 해결을 위해, 비핵화 실현을 위해, (동북아) 지역의 항구적 평화를 위해 기여하겠다”고 밝히자, 문 대통령은 고개를 끄덕이며 미소를 짓기도 했다.
문 대통령을 비롯한 세 정상은, 각 나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협력 △감염병·만성질환 등 보건 협력·고령화 정책 협력 △액화천연가스(LNG)·정보통신기술(ICT) 분야 협력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 2020년까지 삼국간 인적 교류 3000만명 이상 목표 달성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고, 캠퍼스아시아 사업 등 각종 청년교류 사업도 더욱 활성화하기로 합의했다. 세 정상은 또 2년 만에 재개된 한·중·일 정상회의를 정례화해 나간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