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스캐비노 백악관 소셜미디어 국장이 24일(현지시각)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핵심 참모들과 함께 회의를 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방북 취소를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 맞은편 왼쪽부터 앤드루 김 중앙정보국(CIA) 코리아미션 센터장,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 폼페이오 국무장관, 성김 주필리핀 미국대사,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앉아 있다. 댄 스캐비노 국장 트위터 갈무리.
청와대는 26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갑작스러운 방북 취소에 아쉬움을 표시하면서도 흔들림없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에 기대감이 있었지만 이뤄지지 않아 아쉽다. 한반도 문제의 패러다임 변화가 지난한 과제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폼페이오 장관의 이번 4차 방북이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교착상태에 빠졌던 북-미 관계를 바꾸고 9월 남북 정상회담을 구체화시킬 것이라고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관저에서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 서훈 국정원장, 강경화 외교부장관,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으로부터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무산과 북-미 상황에 관해 보고를 받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취소에 구애받지 않고 9월 남북 정상회담을 준비하겠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무산으로 오히려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은 더 커진 게 아닌가 싶다. 북-미 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막힌 곳을 뚫어주고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문 대통령의 촉진자,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더 커진 것이 객관적인 상황”이라며 “(남북 정상회담도)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취소가 9월 남북정상회담에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다고 하면 지나친 낙관일 것”이라면서도 “남북 관계 진전이 한반도 평화 정착과 비핵화에 도움이 된다는 게 분명한 사실이기 때문에 흐름이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남북정상회담 전까지 이뤄지지 않으면, 회담 결과물이 빈약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북·미가 의미있는 합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회담을 하면 높은 수준의 합의가 어려워 제한적이고 실무적인 성격의 회담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달 안으로 점쳐지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설도 다소 늦춰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신임 대표에게 축하 전화를 걸어 “9월 남북정상회담 때 여야가 함께 가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고 김현 민주당 대변인이 전했다.
성연철 김지은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