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4명 안팎의 장관을 바꾸는 ‘중폭 쇄신 개각’을 이번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성과가 두드러지지 않았거나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론과 엇박자를 낸 부처 수장을 바꾸는 내각 쇄신을 통해 국정 추진력을 높이려는 조처로 풀이된다.
4명 안팎 규모로 점쳐지는 이번 개각은 대통령의 결심만 남은 최종 단계에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개각 대상에 대해 말을 아끼면서도 시점은 “이르면 이번주”라고 입을 모은다. 문 대통령이 막판 고심할 경우 다소 늦춰질 수도 있지만, 개각이 임박했다는 데는 여권 내부 이견이 없다. 문 대통령이 27일 국무위원 제청권이 있는 이낙연 국무총리와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 개각 관련 최종 조율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이런 논의가 없었다고 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그 단계를 넘어섰다”고 전했다. 청와대 핵심 인사는 이번 개각에 대해 “문재인 정부 2기를 맞아 좀 더 성과를 내고 다시 국정운영의 활력을 내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 인사들의 말을 종합하면,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권 내부에서도 비판이 나온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의 교체는 확정적이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대학입시 개편안에 대한 민심 악화로 교체가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보인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의 거취를 두고선 전망이 엇갈린다. 애초 박근혜 정부 국군기무사령부의 계엄령 검토 문건에 대한 안이한 대처 등의 사유로 교체가 확실시되는 기류였으나, 당분간 군 개혁의 연속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이유로 유임 가능성도 고개를 들고 있다. 국방부 사정을 잘 아는 여권 관계자는 “장관을 교체해 분위기를 일신해야 한다는 기류도 있었지만 연말까지는 국방개혁을 장관이 완수해야 한다는 쪽으로 최근에 기류가 바뀐 것 같다”고 전했다. 하지만 민주당의 한 의원은 “교체가 결정돼 본인도 마음의 결심을 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여기에 여성가족부, 환경부도 개각 대상으로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이번 개각에도 여당 정치인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인들이 청와대의 정책방향을 정확히 이해하면서 관료들을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졌다는 판단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치인을 선호하는 것은 관료 장악력과 함께 청문회 통과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단 재선의 유은혜 의원의 입각은 확실시되고 있다. 복수의 민주당 관계자들은 “유 의원 검증이 진행된 걸로 안다”고 전했다. “여성 국무위원 30% 방침을 유지하면서도 세대교체 인상을 줄 수 있어 ‘유은혜 카드’가 긍정적으로 고려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여성가족부 장관과 교육부 장관 중 어떤 자리인지는 확정되지 않은 걸로 전해졌다. 유 의원이 초선 시절부터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활동한 만큼 교육부 장관에 적합하다는 평이 나오지만 부총리직을 맡기에는 나이(1962년생)가 비교적 젊다는 의견도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 나온 삼성전자 상무 출신 양향자 전 민주당 최고위원의 산업부 장관행은 불발 가능성이 커 보인다. 여당 관계자는 “삼성과의 관계 등으로 인해 논란이 많을 텐데 청와대가 그런 부담까지 지겠느냐”고 말했다. 김보협 엄지원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