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경 청와대 대변인이 31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다음달 5일 대북특사를 파견한다는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문재인 대통령이 5일 평양에 특별사절단을 보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일정과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 방안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비핵화와 종전선언을 놓고 북-미가 이상 기류를 보이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난국 타개를 위한 ‘중재자’를 자임한 것으로 보인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1일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10시30분 무렵 우리 정부가 북쪽에 전통문을 보내 5일 문 대통령의 특사를 보내겠다고 제안했다”며 “전통문을 받은 북쪽은 오후 특사를 받겠다는 내용의 회신을 보내왔다”고 말했다. 대북 특사가 평양에 가는 것은 지난 3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 4월 말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를 이끌어낸 이후 두번째다.
김 대변인은 “남과 북 모두 여러 경로를 통해 (특사 파견) 문제를 협의해왔고, 이 시점에서 특사 파견이 필요하겠다고 판단했다. 중요한 시점에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만큼 남북이 좀더 긴밀하고 농도 있는 회담을 하기 위해 특사가 가기로 했다”며 “대북 특사는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인 개최 일정과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 방안을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사단의 면면이나 규모, 방북 일정에 관해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고, 조금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특사단이 북쪽 어떤 인사와 만날 것인지에 관해서도 “내심 생각하는 바는 있는데 역시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말을 아꼈다. 남북은 앞서 고위급 회담을 통해 9월 안에 평양에서 3차 남북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
김 대변인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방북 연기 이후 남북이 다양한 경로로 상시적인 대화를 해왔고, 그 결과가 특사 파견이다. 미국 쪽과도 상시적으로 긴밀하게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