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전(현지시각) 미국 뉴욕 파커 호텔에서 폭스(FOX) 뉴스 채널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각) 종전선언은 물론 “평화협정 체결과 남북통일 이후에도 주한미군이 계속 주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통일 이후 주한미군 주둔을 거론한 것은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미국 <폭스 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종전선언이 이뤄지면 유엔군사령부 지위가 흔들리거나 주한미군이 철수해야 된다는 압박을 받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일부 있었지만 그렇지 않다”며 “평화협정 체결까지는 정전체제가 유지되기 때문에 유엔사나 주한미군 지위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주한미군은 남북관계에서 평화를 만들어내는 대북 억지력으로서도 큰 역할을 하지만 나아가서는 동북아 전체의 안정과 평화를 만들어내는 균형자 역할을 하고 있다”며 “그래서 나는 평화협정 체결 이후에도, 심지어는 남북 통일 이후에도 동북아 전체 안정과 평화를 위해서 주한미군이 계속 주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미국외교협회(CFR), 코리아소사이어티(KS), 아시아소사이어티(AS)가 공동 주최한 연설에서도 “주한미군 주둔은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과 무관하게 한-미 동맹이 결정할 문제일 뿐”이라며 “이러한 종전선언 개념에 대해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도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미국 보수언론과 외교가를 향해 주한미군의 흔들림 없는 지위를 강조한 것은 ‘한반도의 평화, 화해 분위기가 자칫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 입지 약화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미국 내부의 우려를 불식해 ‘연내 종전선언’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주한미군은) 한국 안보에 도움되는 것은 물론 미국의 세계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며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취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뉴욕/김보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