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7일 방북하기로 한 것에 한반도 비핵화에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시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3일 “폼페이오 장관이 이달 중순께 방북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예상보다 빨리 평양에 간다”면서 “일정이 당겨진 것은 북-미 사이의 비핵화 물밑 협상에서 어느 정도 진전이 있다는 것 아니겠느냐.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폼페이오 장관이 방북에서 비핵화 협상 진전과 2차 북-미 회담 일정 구체화, 남북미 종전선언 가시화 등의 성과를 바라는 분위기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 8월 말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무산됐다가 다시 이뤄지는 만큼 이번에 아무런 성과가 없이 돌아오지는 않을 것 같다”면서 “청와대로서는 비핵화 문제에 있어 실질적인 진전을 거두고 북-미 회담 시기나 장소도 구체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특히 여러차례 문 대통령이 강조한 연내 종전 선언과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대한 미국의 상응 조치들도 이뤄지길 기대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총회 연설에서 “전쟁 종식은 매우 절실하다. 평화체제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할 과정”이라며 “비핵화를 위한 과감한 조치들이 관련국 사이에서 실행되고 종전선언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폭스뉴스> 인터뷰 등에서 “이제 문제는 북한이 어느 정도 진지한 핵폐기 조치를 취할 경우에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어느 정도 속도있게 해주느냐에 달려 있다”며 △종전 선언 △평양 연락사무소 개설 △경제시찰단 교환 △인도적 지원 등을 상응 조치의 예로 들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내 종전선언을 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는 그대로다”라며 “쉽지는 않겠지만 종선 선언이 가시화된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이 북한에서 돌아오는 7일 오후나 8일 오전께 청와대에서 그를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쪽은 “폼페이오 장관이 7일 너무 늦지 않게 온다면 그날 문 대통령을 만날 수도 있고, 여의치 않다면 8일 오전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