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이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의 청와대 국정감사에서 장하성 실장과 대화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청와대가 연말께 비서실 개편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정사실로 굳어진 장하성 정책실장 교체와 21대 총선을 준비할 참모진의 이동 요인이 맞물리면서다.
6일 청와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청와대는 연말을 목표로 장 실장의 후임을 비롯해 2020년 총선을 준비 중인 비서관급 이상의 인사 개편을 논의하고 있다.
총선 출마 희망자들은 늦어도 총선 1년 반 정도를 앞둔 내년 초에는 자신의 지역구로 돌아가 ‘터잡기’에 나서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고 한다. 참모진 가운데 한병도 정무수석과 백원우 민정비서관, 권혁기 춘추관장 등이 출마 예상자로 거론된다. 다만, 국회의원 출신인 임종석 비서실장은 연말 교체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임 실장이 남북정상회담 이행추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데다 정무적 판단 등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잘 보좌하고 있어 문 대통령의 신임이 높다”고 말했다. 또 자칫 야당이 공격해온 ‘2인자의 자기 정치’의 책임을 지고 경질되는 모양새를 띨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6월 지방선거 때도 20여명의 참모진이 출마를 위해 청와대 문을 나섰다. 당시 청와대는 광역단체장 출마 인사들은 1월 말까지, 기초단체장 출마 희망자들은 2월 말까지 사퇴 의사를 밝히도록 내부 정리를 한 바 있다.
장 실장 교체에 따른 수석비서관급 인사도 불가피하다. 청와대는 현재 장 실장 후임으로 김수현 사회수석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김 수석이 정책실장으로 발탁된다면 사회수석 자리를 채워야 한다. 청와대는 지난 7월 정태호 일자리수석, 윤종원 경제수석, 이용선 시민사회수석을 임명한 바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로선 명확한 계획을 갖고 개편을 추진하는 단계는 아닌 걸로 안다”고 했다. 김 수석이 정책실장으로 옮겨갈 경우, 빈자리에 ‘원 포인트’ 인사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청와대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교체에 따른 연쇄 개각 가능성에 관해서는 선을 그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부총리 외에 정치인 출신 장관 등의) 추가적인 개각은 없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총선을 앞두고 ‘정치인 출신 인재난’이 예상되는데다 인사청문회가 한꺼번에 몰리는 것도 정국 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내각에 7명의 현역 의원 겸 장관이 포진한 만큼, 내년 초부터 상반기 안에 순차적인 개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성연철 김보협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