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준 광화문시대 자문위원이 4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청와대 공동기자단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인 ‘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을 보류하고, 대신 청와대의 개방 수준을 지금보다 확대하기로 했다. 광화문광장에서 경복궁과 청와대를 거쳐 북악산에 이르는 경로를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청와대가 그 동선의 일부에 포함되도록 광화문의 개념을 확장하겠다는 것이다.
유홍준 ‘광화문시대’ 자문위원은 4일 청와대에서 브리핑을 열어 “대통령 집무실을 현 단계에서 광화문 청사로 이전하면 청와대 영빈관·본관·헬기장 등 집무실 이외 주요 기능 대체 부지를 광화문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문 대통령도 임무를 수행하다 보니 경호와 의전이라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했고, 자문위원 등 전문가들도 (경호·의전까지 고려해) 동선을 만드는 데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집무실 광화문 이전은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추진하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마무리된 이후 장기적인 사업으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유홍준 자문위원 등 전문가들이 오늘 오후 역사성, 보안, 비용 등을 종합 검토한 (이런) 결과를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말했다.
대신 유홍준 자문위원은 “‘광화문 대통령’을 하겠다는 뜻은 ‘국민과 소통, 청와대 개방’이 기본 기조였다”며 이런 취지를 살려갈 것이라고 했다. 그는 “경복궁-청와대-북악산을 연결해 (시민들이 경복궁과 청와대를 거쳐) 북악산을 올라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렇게 연결하려면 현재 관저 앞을 통과해야 한다. 경호처와 동선을 검토하며 관저 이전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 개방 확대 방안에 대해 “가능하면 많은 사람이 청와대를 방문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방향에서 추진할 것”이라며 “오늘 이런 결론을 내림으로써 제가 맡은 광화문시대 위원회는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이 사업을 실무 부서에서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