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재개발 구역의 건물을 산 것을 두고 논란에 휩싸인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28일 “집이 있는데 또 사거나, 시세차익을 누리고 되파는 (투기의)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청와대 대변인이 10억원이 넘는 거액을 시중은행에서 빌려 25억7천만원짜리 재개발 건물을 구입한 것을 두고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더구나 건물을 구입한 지난해 7월은 정부와 청와대가 강력한 대출 규제와 집값 억제 정책을 내놓기 직전이다. 대출 규제 등으로 주택 구입이 더 어려워진 무주택자들의 허탈감을 키웠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어 보인다.
김 대변인은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결혼 뒤 30년 가까이 집 없이 전세를 살다가, (청와대 대변인에 임명된 뒤인) 지난해 2월부터 청와대 관사에서 살고 있다”며 “청와대는 언제 나갈지 알 수가 없는 자리이고, 물러나면 관사도 비워줘야 해 집을 살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3월 저와 30년 넘게 중학교 교사 생활을 한 아내가 퇴직한 뒤 퇴직금이 들어와 여유가 생겼고, 흑석동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하는 아주 가까운 친척이 이 매물(복합건물)을 살 것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건물을 산 이유에 관해 “재개발이 완료되면 노모를 모실 수 있는 아파트와 상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라며 “상가는 청와대를 나가면 별다른 수익이 없기에 임대료를 받아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거로 생각했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투기라고 보는 시각이 있는데, 이미 집이 있는데 또 사거나, 시세차익을 누리고 되파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10억원의 은행 대출금이 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관해서는 “상환할 수 있는 방법과 계획이 있다. 그러나 대단히 사적인 문제이고 가정사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답변할 수 없는 것을 이해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권의 한 인사는 “현재 지역구에 가면 주민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것 중의 하나가 아파트 대출 규제”라며 “집값을 잡으려고 비판을 감수해가며 강력한 대출 규제 정책을 펴고 있는데, ‘정부의 얼굴격’인 청와대 대변인이 집과 상가를 사려고 본격적인 대출 규제가 시행 되기 전에 거액을 대출받았다는 건 매우 뼈아픈 대목”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